코트라 런던무역관은 28일(현지시간) 지난 1월 30일부터 2월 3일까지 영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5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참여사 중 79%가 “대책 마련이 필요하지만 아직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미 대책을 마련한 곳은 4%에 그쳤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인구 5억명의 유럽연합(EU) 단일시장과 관세동맹에서 이탈하는 하드 브렉시트를 천명했다.
하드 브렉시트가 진행되면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 파운드화 가치하락(28%)이 꼽혔다. 영국 내수시장 침체(27%), 영-EU 관세장벽(19%), 한-영 관세장벽(13%) 등도 우려 사항으로 파악됐다. 현지 진출 기업 대부분이 판매법인이어서 파운드화 가치가 떨어지고 내수시장이 위축되면 수출도 후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코트라 분석이다.
설문 참여사 중 중소기업들은 파운드화 가치하락에 무방비인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중견기업 응답률을 보면 판매가격을 인상하거나(52%) 가격 유지를 위해 손해를 감수하겠다(13%)는 응답이 3분의 2에 달했다. 반면 대기업은 55%가 영향이 없거나(28%) 환 헤지 등을 통해 대비 중(27%)이라고 답했다.
김윤태 코트라 런던무역관장은 “관세장벽에 대비해 한영 자유무역협정(FTA)을 신속히 체결해야 한다”며 “또 서비스업이 발달한 영국이 FTA 협상시 해당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개방을 요구할 가능성이 큰 만큼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