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고속도로 졸음사고 치사율 과속의 2.4배

봄철졸음사고겨울보다 12% 증가

고속도로 졸음운전 사고 치사율이 과속사고의 2.4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봄철(3~5월) 졸음운전 사망자 수가 겨울철(12~2월)보다 크게 높은(12.2%) 것으로 집계돼 운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도로공사 최근 5년(2012~2016년)간 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분석한 결과 치사율(사고 1건당 사망자 발생비율)이 18.5%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 기간에는 2,241건의 졸음운전 사고가 발생해 414명이 사망했다. 졸음사고 치사율은 과속사고 7.8%의 2.4배, 전체 교통사고 12.2%의 1.5배에 달한다. 특히, 화물차는 졸음운전 사망자가 212명이 발생해 전체 사고의 5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변화에 따른 졸음운전 사고와 사망자는 봄부터 큰 폭으로 늘어났다. 겨울철(12~2월) 554건에서 봄철(3~5월) 604건으로 50건(9%)이 증가했고, 이에 따른 사망자는 겨울철 90명에서 봄철 101건으로 11명(12.2%)으로 늘었다. 시간대는 생리상 수면 시간대인 오후 9시~오전 6시와 식곤증이 몰려드는 정오~오후 3시에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봄철에 졸음사고가 증가하는 이유는 봄 날씨에 적응하기 위해 신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영양소 필요량이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각종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가 부족할 경우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서는 장거리 운전 시 미리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전 중에는 1~2시간 간격으로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에 들러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창문을 열어 차량 내부를 자주 환기를 하거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김천=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