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60년까지 미국 경제성장률 둔화…"한국, 내수활성화로 대비해야"

미국 경제는 2060년까지 평균 성장률이 2%를 밑돌 것...

한국경제의 수출의존도를 낮추고 투-트랙(two track) 전략 필요

대미수출 어려워질 전망/연합뉴스대미수출 어려워질 전망/연합뉴스


미국 경제가 2060년까지 연평균 2% 성장도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대미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는 내수활성화에 집중해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3일 발간한 ‘미국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 지속가능성 점검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서 “미국 경제의 구조변화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돼 지속적으로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왔으며, 2007∼2008년 금융위기는 이러한 잠재성장률의 하락을 일정 부분 가속했다”고 진단했다. 또한 “수출시장 다변화, 높은 부가가치를 가지는 상품개발을 통한 수출단가 인상, 경기변동에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핵심 재화의 개발 등을 통해 수출의 급격한 하락을 막는 것과 동시에 내수시장 활성화로 한국경제의 수출의존도를 낮추는 이른바 투-트랙(two track)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락하는 한국의 성장률 회복을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과 4차 산업혁명 대응 등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촉진 정책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관련기사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