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S-Story] 싼 전기료...편안한 주행감...전기차 후회없이 질렀다

■전기차 빅뱅...올해가 대중화 원년

보조금에 구매 부담도 줄어

최근 한달 접수 1,200대 넘어

일부 지자체선 밤샘 진풍경

테슬라서 볼트EV·현대차까지

신차 줄이으며 불꽃 경쟁

충전기 확충·규격화는 과제





# 개인택시 기사 김덕수(52)씨는 자칭 전기차 홍보대사다. 지난해 8년가량 몰던 현대 쏘나타를 르노삼성의 전기차 SM3 Z.E로 바꾸고는 월수입이 10% 이상 늘었다. 핵심은 비용절감. 집에 설치된 충전시설로 배터리를 완충하는 데 드는 전기료는 3,000원에 불과하다. 한 번 충전하면 130㎞를 운행할 수 있다. 김씨는 “처음에는 차가 조금 작아서 승객들이 승차를 꺼릴 수 있다는 부분과 주행거리가 제약된다는 점이 걱정스러웠지만 모두 기우였다”며 “전기차에 대해 신기해하는 승객들에게 구매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직장인 이경훈(35)씨는 최근 현대차의 아이오닉 전기차(EV)를 구매했다. 자동차 마니아인 이씨가 전기차에 반한 이유는 가솔린이나 경유 차량에서 느낄 수 없는 주행 성능. 전기차는 엔진이 아닌 모터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변속 없이 출발부터 매끄럽게 치고 나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씨는 “그동안 느껴보지 못한 주행 느낌에 반해 전기차 구매를 결심했다”며 “충전 인프라 등이 아직 부족하기는 하지만 전기차 구매를 후회하지 않는다”고 만족했다.

전기차 전성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짧은 주행거리와 비싼 가격에 소비자의 선택을 주춤하게 했던 전기차들의 단점이 속속 극복되면서다. 국내 시장만 놓고 보면 테슬라가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상륙했고 한국GM 역시 상반기 신차 출시를 예고하면서 완성차 업체 간 불꽃 튀는 경쟁이 예상된다.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만큼 전기차가 이동수단의 대세로 자리 잡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환경부 및 지자체 보조금 신청 급증=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기차는 제주도에 가면 볼 수 있는 차 정도가 소비자들의 대체적인 인식이었다. 충전 인프라가 부족했고 차량 가격도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우선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지난해 31곳에서 올해 101곳으로 3배 넘게 급증했다. 보조금 평균 단가 역시 지난해 430만원에서 545만으로 뛰었다. 사실상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전기차 구매비용을 2,000만원(정부 보조금 1,400만원 포함)가량 줄일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말 시작한 전기차 보조금 신청 결과 72곳의 지자체 중 절반가량이 조기 마감됐다. 접수 대수도 한 달 만에 1,200대를 넘어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충북 청주를 비롯해 지자체 보조금이 높은 일부 지역은 보조금 신청 전날부터 밤새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지난달 28일부터 보조금 신청 접수에 돌입한 서울시 등 후발 지자체들도 보조금 신청 열기가 뜨겁다.


◇테슬라·볼트EV까지 치열해진 경쟁=전기차 열풍은 하반기부터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 데 더해 업그레이드된 전기차들이 속속 등장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우선 태생적인 한계로 지적됐던 주행거리가 극복됐다. 한국GM이 곧 출시할 볼트EV의 경우 한 번 충전으로 최대 383㎞를 간다. 기존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130~190㎞인 점과 비교하면 획기적인 변화로 그동안 시내 주행으로 묶여 있던 전기차의 행동반경이 전국구로 확대되는 셈이다. 르노삼성 역시 주행거리를 200㎞ 이상으로 끌어올린 신형 SM3 Z.E를 선보일 예정이고 현대차도 아이오닉 EV의 주행거리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급이 다른 선수도 나온다. 테슬라는 올 1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인증을 완료한 모델S 90D의 사전예약분에 대한 판매에 돌입했다. 1억원이 넘는 모델S 90Dsms는 기존 전기차와 공략 시장이 다르지만 소비자의 관심은 뜨겁다. 테슬라는 모델S 시리즈를 선보인 후 보급형인 모델3 등으로 라인업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충전 인프라 확충·규격화가 걸림돌=정부는 2020년 전기차 25만대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대표적인 게 충전 인프라다. 최근 이마트에 이어 롯데마트가 전기차 충전시설 도입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 충전소를 손쉽게 찾기는 어렵다. 지난해 말 기준 전기차 충전시설은 849곳에 불과하다. 전체 자동차 등록 대수가 2,100만대인 점과 전국 주요소 수(1만3,856개)를 고려하면 적어도 전기차 충전시설이 1,300곳 이상은 돼야 한다.

브랜드별로 제각각인 충전기기의 규격을 통일하는 것도 과제다. 기아차의 쏘울과 레이, 닛산 리프 등은 DC 차데모 방식, 현대차의 아이오닉과 쉐보레 스파크는 DC콤포 방식, SM3 Z.E는 AC3상 방식으로 충전기기의 규격이 다르다. 일반 주택과 달리 아파트의 경우 독점적 주차공간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충전기 설치가 어려운 점도 타협점을 찾아야 할 문제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