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김수암 통일硏 선임연구위원 "맞춤형 정보유입으로 北 주민 인권의식 높여야"

北 인권법 제정 1주년 포럼서 주장

"지역·계층·세대별 전략 세워

특화된 콘텐츠로 접근할 필요"

서창록(오른쪽) 고려대 인권센터장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북한인권법 제정 1주년을 기념해 열린 북한인권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창록(오른쪽) 고려대 인권센터장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북한인권법 제정 1주년을 기념해 열린 북한인권 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주민의 인권 의식 제고를 위해 외부 정보를 유입시킬 때 계층별·세대별로 맞춤형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수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고려대 인권센터와 통일부가 공동 개최한 ‘북한인권법 제정 1주년 기념 북한인권 포럼’에 발제자로 나서 “북한 주민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북한 주민의 인식이 제고돼야 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북한당국이 외부 정보의 유입을 철저하게 차단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북한 주민의 인권 인식을 높이려면 외부로부터의 정보 유입이 핵심 수단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주민들이 당국의 감시를 피해 TV, 라디오, DVD, 국경 지역에서의 중국 휴대폰 사용, 북중 접경지역 밀수 과정에서의 정보, 전단 등으로 외부 정보를 접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북한 내 정보 유입을 위해 시장화 확산에 따른 북한 내 지역별·계층별·세대별 인식의 분화 양상을 고려해 맞춤형 정보 유입 전략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매체에 따라 북한 주민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전문적으로 조사돼야 한다”면서 “이런 조사를 바탕으로 시장화 확산에 따른 계층·직업·연령·지역 등 보다 구체적인 맞춤형 정보 유입 방안을 수립하는 국제협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아울러 “청소년, 하층 엘리트를 대상으로 특화된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한당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유엔과 각국의 비정부기구(NGO)가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각종 행사가 연계될 필요가 있다며 “가칭 북한 인권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광백 통일미디어 대표도 발제자로 나서 DVD나 USB로 북한 주민에게 전해지는 콘텐츠가 주로 문화·오락 프로그램이라며 “북한 주민의 민주주의와 인권 의식을 높이고 통일시대를 함께 준비하는 데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해 유입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