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저축銀·대부업체에 기대는 고령층 증가

소득은 없는데 생활비는 필요하고

높은 은행 문턱에 제2,제3 금융권에 기대는 고령층

그러나 고금리로 상환 능력은 부족



소득은 줄어드는데 돈은 필요한 고령층이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에 대출받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60세 이상 고령층의 저축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2천182억원으로 전년 말(1,544억원) 대비 41.32% 증가했다. 4년 전인 2012년(590억원)과 비교하면 약 4배 수준으로 커졌다. 또 대부업체에서 신용으로 빌린 돈의 잔액도 2,938억원으로 전년 말(2,363억원) 대비 24.33% 증가했고, 2012년(1,049억원)과 비교하면 2배로 늘었다.

2012년 말만 해도 전체 저축은행 신용대출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1.23%에 불과했지만 2016년 말에는 2.42%로 2배가 됐다. 같은 기간 전체 대부업체 신용대출에서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2.08%에서 3.57%로 약 1.5%포인트 올라갔다.


이처럼 고령층은 소득이 줄어들면서 생활이 힘든데 직장 없이는 은행 대출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대출이 쉬운 제2, 제3금융권을 찾고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통계청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60대 이상 가구주의 월 소득은 평균 293만4,209원으로 전년(300만4,092원) 대비 2.3%(6만9,883원) 감소했다. 전 연령층에서 월 소득이 줄어든 것은 60대 이상뿐이다.

60대 이상 고령층의 제2, 제3금융권 대출이 증가하면서 고금리 이자 부담으로 채무 상환 문제도 같이 증가했다.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의 대출은 연 20%가 넘는 고금리로 이자 부담이 크다. 실제로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환 능력이 부족해 채무 감면이나 상환 기간 연장해 달라며 채무조정을 신청한 60대 이상은 7,829명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