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위원회 의장이 지난 3일 기준 금리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미국이 이달 중으로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리고 금리 인상 속도도 높일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고 있는데요. 문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오르면 1,3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폭탄이 터질 위험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특히 저신용·다중채무자들이 돈을 갚지 못해 어려움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오늘 투데이포커스에서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도국 금융증권부 김성훈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우선 이번 달에 미국 기준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자]
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위원회 의장은 지난 3일 한 강연에서 “연준의 고용 목표가 대체로 달성됐고 물가 수준도 2% 목표에 다가서고 있다”며 “고용과 물가가 예상에 부합하면 이달 회의 때 기준금리 추가 조정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어느 정도 조건만 충족되면 이달 중에 기준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의사를 직접 내비친 겁니다.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해서도 “올해 금리가 더 빠른 속도로 올라갈 것 같다”며 올해 안에 기준금리가 빠르게 인상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온건파로 분류됐던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은행 총재도 “통화정책 긴축 가능성이 전보다 더 강력해졌다”고 언급했고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도 지난 1일 연설에서 금리를 조만간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3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만 해도 35% 수준이었던 3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옐런 의장 발언 후 79.7%까지 올라갔습니다.
연방준비위원회는 오는 14~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합니다. 연준은 2015년과 지난해 12월에 각각 0.25%포인트씩 금리를 올렸고, 이달 중에 금리를 인상하면 미국 기준금리는 0.75~1.00%가 됩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는데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를 염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인가요?
[기자]
네, 달러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부분의 국가가 영향을 받는데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한다 해도 시중금리가 영향을 받아 국내 금융사들의 대출 금리가 오르는 것입니다. 지난 1월 시중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신규 취급액 기준 연 3.39%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째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시중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따라 올라 빚을 진 사람들의 상환 부담이 그만큼 커집니다.
[앵커]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가 생각보다 크고 위험하다는 것인데, 특히 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가 더 피해를 볼 수 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저신용·다중채무자가 미국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는데요, 이들 대부분이 은행에서 거절당해 고금리인 비은행대출을 받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저신용·다중채무자 중 73.2%가 대부업·캐피탈 등 고금리 비은행대출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곳 이상의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고 있는 다중채무자 수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다중채무자는 2016년 말 기준 50만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비은행권 대출 평균 금리는 은행권의 최소 3배에서 최대 7배까지 많기 때문에 연체·파산 위험이 높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금융자산보다 금융부채가 많고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의 40%를 넘는 ‘한계 가구’도 1년 새 15%나 증가해 무려 182만 가구가 됩니다.
금리가 1% 오를 때마다 4만 가구의 한계가구가 더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앵커]
그렇군요,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를 줄이고 경기 회복세를 이어갈 방법은 없는 건가요?
[기자]
정부와 금융당국은 취약계층의 금융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 1월 정책서민자금을 5조7,000억원에서 7조원으로 늘려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빚 자체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소득이 줄어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기업·산업 구조조정으로 부실을 털어냄과 동시에 단기적으로는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정책을, 장기적으로는 4차 산업과 서비스업을 적극적으로 키워나가는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앵커]
미국의 기준금리인상이 국내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도국 김성훈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기자]
고맙습니다.
[영상편집 김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