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복잡한 우주선 손상, ‘신경망’으로 쉽게 검출하는 기술 개발

권일범 박사가 복합재료 실린더에 망치를 이용한 충격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권일범 박사가 복합재료 실린더에 망치를 이용한 충격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항공우주 구조물에 사용하는 복합재료 내부의 손상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권일범 박사팀은 복합 재료에 광섬유를 매설하고 변형 패턴을 측정함으로써 손상을 파악하는 ’광섬유 감지 신경망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우주선 발사체에는 탄소섬유로 강화된 복합재료를 사용하는데, 충격을 받아도 내부에만 손상을 입고 표면은 복구하여 드러나지 않는다. 이를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사되면 손상된 부분으로 압력이 분출되어 폭발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는 복합재료의 손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일일이 초음파 및 방사선 촬영으로 내부 손상을 영상화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손상에 대한 신호를 얻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많은 부수장치와 노동력, 시간이 필요하다는 큰 단점이 있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복합재료에 알루미늄 코팅 광섬유를 매설하고 손상이 발생하면 재료의 변형 패턴이 광섬유에 남도록 설계하였다. 그 다음 광섬유의 변형률 측정을 위한 BOCDA센서 시스템을 구성하여 정확한 손상 위치와 정도를 검출하였다.

복합재료의 손상을 정확하고 손쉽게 검출하는 이번 기술은 우주 발사체 추진기관, 중대형 산업 설비 및 조선해양 분야에서 대형 구조물의 안전성 검사를 위한 측정기술로 넓게 활용될 수 있다. 권일범 박사는 “사람의 신경망이 통증, 온도, 압력 등을 감지하여 느끼게 하는 것처럼 구조물에도 광섬유를 통해 손상을 감지하는 신경망 기술을 개발했다”라며 “산업 전반에 사용하는 복합재료의 찾아내기 힘든 충격 손상을 유효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민군융합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결과는 복합재료 연구분야 학술지 ‘컴포지트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2월 28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권일범 박사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한국표준과학연구원 권일범 박사 /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