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 배치 착수...격랑의 한반도

장비·병력 순차적 전개...이르면 내달 운용가능

黃대행-트럼프 긴급 통화 "北미사일 엄중 대응"

中 "사드 결연히 반대...뒷감당 한미가 책임져야"

한국과 미국 군 당국이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작업을 전격적으로 시작했다. 국방부는 7일 “대한민국과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동맹 결정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그 결과 사드 체계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TV 캡처한국과 미국 군 당국이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작업을 전격적으로 시작했다. 국방부는 7일 “대한민국과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동맹 결정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그 결과 사드 체계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TV 캡처


한미 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전격 착수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오는 4~5월께부터 작전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일본 등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이 복잡한 이해관계 속에 갈등과 마찰을 빚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반도는 그야말로 격동의 정세로 빠져들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한미 사드 배치를 결연히 반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 안보이익을 수호할 것”이라며 “필요한 조치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뒷감당은 한국과 미국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사드 배치 자체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데다 중국의 경제보복도 가속되는 상황이어서 한미 군 당국이 대선일정 이전에 사드 배치를 기정사실화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3면

국방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 체계의 일부가 한국에 도착했다”며 “사드 배치 완료시점은 보안사안이라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도착한 장비는 요격미사일을 쏘는 차량형 발사대 2기로 지난 6일 밤 미군 C-17항공기로 경기도 오산기지에 도착해 주한미군 모 기지로 옮겨졌다. 나머지 장비와 병력은 순차적으로 전개될 예정이다. 주한미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사드 전개작업이 시작됐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사드 체계는 1∼2개월 안으로 한반도에 모두 전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4월부터 사드가 작전운용에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는 한미 양국이 당초 예정했던 배치시점인 ‘2017년 말’은 물론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이 지난해 11월 밝혔던 ‘앞으로 8~10개월 이내(이르면 7월) 배치 추진’보다 훨씬 앞당겨진 것이어서 배경이 주목된다.

관련기사



군 관계자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는 상황을 종합해 사드 배치일정을 최대한 조속히 할 방안을 강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북한의 6일 스커드-ER 4발 발사와 긴급 전개가 관련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혀 관계가 없으며 한미 연합 독수리훈련과도 무관하다”고 대답했다.

사드 배치작업이 예상보다 빨라짐에 따라 중국의 반발과 경제보복 수위도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중국 정부는 3월에도 한국행 전세기만 운항신청을 불허한 것으로 이날 확인됐다.

군 당국은 사드 전개작업에 착수한 사실을 중국 측에 사전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사드는 오로지 북한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긴급통화에서 전날 이뤄진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엄중히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두 사람은 사드 본격 배치와 이에 따른 한미일 공조 필요성도 논의한 것으로 관측된다.

/권홍우 선임기자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