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세계김치연구소, 연구수당 풀링제 시범도입

연구성과를 연구수당에 직접 연계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연구하는 출연연 환경조성의 일환으로 세계김치연구소 주요사업에 연구수당 풀링제를 시범도입한다고 7일 밝혔다.

연구수당 풀링제는 지난해 5월 제1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논의된 ‘정부 R&D 혁신방안’의 세부 추진과제중 하나이며 출연연이 연구에 집중하고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연구성과에 대한 보상으로서 연구수당을 직접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도입하는 제도이다.


주요사업 내에서 R&D과제별로 관리하던 연구수당을 기관에서 통합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연말 실시하는 주요사업 연구성과 평가 결과와 연계해 연초에 계상된 연구수당을 차등지급하되, 평가등급간 차등폭을 확대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김치연은 주요사업의 각 과제별로 계상된 연구수당을 기관에서 통합하여 관리한다. 연말에 주요사업 평가를 통해 과제별로 평가등급(S, A, B, C, D)을 부여하고 C, D 등급(하위 15%)에 대해서는 연구수당을 미지급한다.


또한 S, A, B 등급을 부여받은 과제들을 다시 5등급(1~5등급)으로 나누어서 최소 9%에서 최대 17%까지 과제별 연구수당을 차등하여 지급한다.

관련기사



과제별로 참여한 연구원에게 배분하는 방식도 연구책임자가 참여연구원의 참여율과 기여도를 바탕으로 결정한 결과를 기관 차원에서 검증하고, 과제별 연구수당 지급내역을 기관 전체에 공개함으로써 공정한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관계자는 “연구수당 풀링제를 통해 연구성과가 미흡한 과제에서 미지급한 연구수당을 연구성과가 우수한 과제에 지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연구성과와 보상 간의 연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향후 김치연 시범도입 결과와 연구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모든 출연연의 주요사업 및 국가R&D사업에 이번 제도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한편 출연연은 그동안 연구수당 지급과 연말에 실시하는 과제평가 결과를 연계하지 않거나 평가 결과와 연계하더라도 사실상 평가등급간 연구수당 지급률 차등을 크게 두지 않아왔다.

/세종=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