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내 칭다오맥주 인기 여전...'중국산 불매운동' 영향 없어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에도 한국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은 꾸준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이마트에 따르면 이달 6일까지 칭다오맥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8% 증가했다. 이는 수입 맥주 전체 매출 성장률(16%)를 웃도는 수준이다.

중국이 ‘한국여행 금지’를 주문했던 지난 4~6일 이마트의 수입 맥주 매출은 1개월 전보다 1.7% 감소했지만 칭다오맥주 매출은 되레 3.3% 늘었다.


다른 대형마트는 중국산 맥주와 고량주 매출이 전년보다 소폭 줄었지만 이 같은 매출 추이가 1년 전과 다를 게 없어 사드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긴 어렵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편의점 칭다오 맥주도 마찬가지다. 한 편의점에 따르면 칭다오맥주는 지난 1~6일 직전 주보다 3%,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매출이 늘었으며 또 다른 편의점도 지난 4~6일 칭다오 매출 증가율이 0.6%로 집계돼 사드 영향은 없었다.

맥주 외 TV나 냉장고, 보조배터리 등 중국산 가전의 매출이 최근 줄어든 경향이 있지만 이도 ‘계절적 영향’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롯데 하이마트는 이달 중국산 TV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줄어들었고 냉장고 60%, 세탁기 4%, 보조배터리는 70% 감소했지만 업계 관계자는 “매출이 줄어든 것은 사드 영향이 아니다”며 “국산 매출 추이와 비슷할 뿐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의 경우 판매 물량이 부족해 매출이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온라인에서는 “중국 제품을 쓰지 말자”는 소비자들이 하나 둘 늘고 있다. 경기도에 사는 소비자 백 모(40) 씨는 “중국 내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어려움을 겪는다는 소식을 들으니 샤오미 보조배터리 쓰기가 꺼려진다”며 “그러나 한·중 양국이 서로 불매 운동에 열을 올리면서 감정싸움으로 번지는 것은 피해야 할 최악의 상황”이라고 말했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서도 “우리도 중국 제품을 사지 말자”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어 향후 중국산 제품의 본격적 매출 감소가 나타날 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