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구제역·AI 방역 실패는 시스템의 문제"

한림원, 구제역·AI 원탁 토론회 열려

류영수 건국대 교수가 ‘구제역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한림원류영수 건국대 교수가 ‘구제역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한림원


매년 반복되는 국가재난형질병인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석학 및 현장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반복되는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정부는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류영수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의 ‘구제역(FMD) 무엇이 문제인가?’와 박최규 경북대학교 교수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발생 현황과 근본적인 예방대책’ 등이 주제 발표가 있었다. 가축 전염병과 동물 바이러스 등 면역학 분야 권위자인 류영수 교수는 검사·예찰·방역·대응시스템 등에 산재한 문제점과 국제수역사무국(OIE)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현재 국내방역조직을 비판하고 혁신적 개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방역 및 역학조사 전문가인 박최규 교수는 현행 방역대책의 문제점을 단계별로 분석하며 올해 AI 방역 실패를 시스템 작동의 문제로 정의하고, 근본적인 대책으로서 국가 가축방역 조직과 인력의 확대, 방역조직의 전문성 확보, 가축방역 관련 당사자 간 소통과 협력 체계 구축, 방역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과감한 투자 등을 제안했다.

관련기사



지정토론에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 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는 박용호 서울대 교수(한림원 차세대부장)을 좌장으로 산·학·연·관 각계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김성식 경기도청 동물위생방역과장, 김우주 고려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학한림원 회원), 민승재 삼성전자 부장(한국공학한림원 회원), 박전한 연세대학교 교수(한림원 의약학부 정회원), 윤종웅 한국가금수의사회 회장,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 회장, 정현규 한국양돈수의사회 회장 등이 각각의 전문지식과 정보 등을 바탕으로 방역체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발제했다.

이명철 한림원 원장은 “국가재난형 전염병은 관련 산업에 큰 타격을 입힐 뿐 아니라 사회적 파장과 후속 여파가 상당한데도 불구하고 수 년 간 근본적인 박멸 대책이 확립되지 않고 있다”며 “한림원 석학들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고 정부 정책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