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경제위기 방어"...외환 모으는 신흥국 중앙은행

금융시장 호황 불구 美 금리인상땐 상황 급변 우려

이스라엘·베트남 등 신흥국 3분의2 보유외환 늘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고조되는 글로벌 리스크에 대응해 외환보유액을 빠르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지난해 주요신흥국 30개국 가운데 3분의2가 외환보유액을 크게 늘렸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과 베트남·체코 등의 외환보유액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이집트와 나이지리아·태국 등도 최근 몇 개월 동안 외환보유액을 큰 폭으로 늘렸다고 WSJ는 전했다. 러시아도 지난 1월의 외환보유액 증가세가 4년여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중국도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전월 대비 69억달러 늘어난 3조50억달러를 기록해 8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중국 외환보유액은 1월 2011년 2월 이후 약 6년 만에 처음으로 심리적 마지노선인 3조달러 밑으로 내려가 시장의 우려를 산 바 있다.


외환보유액 증가는 시장의 충격이나 경기침체 등 대내외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의 증가 추세는 취약한 글로벌 경기회복세에 따른 ‘위기대응’ 측면이 강한 것으로 풀이된다. WSJ는 각국의 외환보유액 증가는 표면적으로 지난해 원자재 가격이 28% 오른 점 등에 힘입은 결과지만 근본적으로는 불안한 경제여건에 대한 위기대응 효과가 깔려 있다고 해석했다.

관련기사



미국 다우존스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돌파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이 호황을 보이고 있지만 미 금리 인상 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상황이 어떻게 급변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WSJ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법인세를 줄이고 미국 경제가 팽창하면 금융 당국이 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릴 수 있다”며 “이머징 시장에서 미국으로 자금이 대거 빠져나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는 등 정치·경제적 요인에 따른 신흥국들의 불안감이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일부 선진국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올해 프랑스 대선과 독일 총선,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협상 개시 등 세계 경제에 큰 파장을 미칠 수 있는 정치일정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스위스 외환보유액은 지난달 250억스위스프랑가량 늘어나며 월간 단위로는 2014년 12월 이후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 덴마크 등 다른 유럽 선진국에서도 외환보유액을 늘리려는 조짐이 이어지고 있다.

신문은 “외환보유액은 각 신흥국들에 위기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대비한 보험 같은 존재”라며 “선진국들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이에 대비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영기자 kcy@sedaily.com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