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급성장한 중국폰 수익성 악화에 위기 맞나

/출처=연합뉴스/출처=연합뉴스




무서운 기세로 세계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성장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판매량이 늘어난 반면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은 낮아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시리즈별 출하량(판매량) 상위권에 랭크된 제품 중 많은 수는 화웨이, 오포, 비보 등 중국 브랜드의 중저가폰이었다.

화웨이의 아너 시리즈(7,220만대)와 어센드 시리즈(6,570만대)가 3·4위를 차지했고 3,840만대가 팔린 오포의 R 시리즈가 6위, 비보의 X 시리즈와 Y 시리즈가 각각 7위와 8위에 올랐다.


비보의 X플레이6 등 일부 제품은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지만, 대부분의 제품은 60만원 대 이하의 중저가로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를 차별점으로 내세운다.

관련기사



화웨이는 올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80만원 대의 P10을 공개하며 프리미엄 폰 라인업 강화에 나섰으나 고급 브랜드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지난해 말 아시아·태평양 지역 1위 제조사로 급부상한 오포 역시 프리미엄 폰보다는 보급형 폰을 주력으로 삼고 있다.

특히 올해 스마트폰 주요 부품 가격이 오르면서 보급형 폰의 위기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 상황이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올해 스마트폰 주요 부품 가격이 올라 생산 비용을 통제하고 건전한 이윤을 유지하려는 제조사들의 능력에 충격을 주기 시작할 것”이라고 9일 밝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D램과 낸드 플래시, 디스플레이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중국이 ‘저렴한 프리미엄폰’을 팔아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고 해도 이윤을 깎아 먹을 것” 으로 내다봤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폰 시장 장악은 당분간 어려운 상황에서 중저가폰 수익성이 낮아지면서 중국이 사면초가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와 애플을 따라오려면 프리미엄폰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