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소업계 “중국 무역보복 중간·자본재로 확산땐 태풍”’

중기청, 대중국수출기업 10개사와 유관기관 간담회 개최

업계 “아직은 소비재만 영향...중간자본재 확산여부가 중요”

보호무역모니터링을 ‘중국대응 TF’로 격상 활동 시작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요청에 ‘보후무역 피해’ 추가키로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와 관련해 무역보복에 나서면서 중소기업청이 ‘중국 대응 TF’를 만들고 피해 기업에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 중소기업들은 현재 중국의 무역조치가 일부 소비재에 멈추고 있지만 중국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간재와 자본재로 확산될 땐 피해가 크게 늘 수 밖에 없다며 정부에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9일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B2B(부품소재)·B2C(소비재)·콘텐츠 기업과 함께 ‘對중국 수출 중소기업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사드와 관련해 무역조치에 나서고 있는 대중국 수출과 관련해 정부와 수출중소기업, 유관기관이 함께 모여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공유하기 위해서 마련됐다.

이날 참석기업들은 부품소재 등 B2B 분야는 양국간 보완적 산업구조 등으로 아직 수출 영향은 크지 않지만 소비재 등 B2C 분야는 통관 지연, 인증강화 등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해외인증획득 지원 및 신속한 법령정보 제공 등을 통한 수출중소기업의 보호무역 대응역량 제고와 신흥시장 진출 노력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건의했다.


중기청은 대중국 수출애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전국 14개 지방수출지원센터를 통해 운영중이던 보호무역 모니터링 체계를 ‘중국대응 태스크포스(TF)’로 격상하고 대중국 수출기업에 대해 밀착관리에 들어갔다. 이 TF는 본청 관련부서(7명)와 지방청 전담인력(14명) 및 수출지원 유관기관으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또 긴급경영안정자금 신청 요건에 ‘보호무역 피해기업’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무역조치 등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은 10억원 한도내에서 금리 3.35%로 5년간(거치 2년)자금을 대출지원받는다.

아울러 중국현지 민간기업과 공동운영하는 ‘프리미엄 매장’을 신규설치하고 한국중기제품 판매를 희망하는 현지 유통사를 ‘대리점’으로 발굴해 지정키로 했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부품소재 등 중간·자본재 위주의 대중국 수출구조로 볼 때 향후에도 상호이익적인 교역관계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하지만 사드 문제와 관련해 수출업계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애로 발생시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며 “수출기업들도 지나친 우려보다는 현 상황을 시장다변화 및 무역장벽 대응역량 강화의 계기로 삼는 차분한 대응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