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모닝브리핑]부국증권 “탄핵보다 3월 FOMC, 기업실적 등에 집중해야”

- 헌법재판소가 10일 오전 11시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할 예정. 이는 지난해 12월 9일 국회가 탄핵 소추안을 의결한지 91일 만. 과거 경험적으로 국내 정치적 이벤트가 주식시장에 중장기적으로 의미있게 반영된 사례는 많지 않으나 짧게는 해당일 또는 단기적으로는 심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과거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2004년 3월 12일 국회에서 소추안이 가결되고 같은 해 5월 14일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된 바 있음.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해 선거법 위반 등 국법문란, 측근비리 등 부정부패, 경제와 국정 파탄이라는 사유로 탄핵소추안이 발의 되었음


- 2004년 5월 14일 탄핵판결 당일 주가의 흐름은 선고과정에 따라 다소 민감하게 반응. 개장 초에는 코스피가 10p넘게 상승(798.80p)하며 시작되었으나 10시 14분 헌법재판소장이 ‘노무현 대통령의 특정 정당을 지지한 발언은 선거법 위반’이라고 밝히면서 10p 이상 하락. 이후 다른 사안은 위헌요소가 없다는 판결이 이어지면서 재차 800p에 근접했다가 ‘기각’결정이 발표되면서 코스피는 급락해 결국 768.46p로 장이 마감. 개장 초반에는 탄핵 기각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다가 막상 기각이 결정되면서는 차익실현으로 하락한 것. 이후 코스피는 8월 초 713p를 저점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해 2005년 2월 1000p를 회복했고 2007년 7월에는 2000p를 넘어섬.

관련기사



- 금일 발표되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선고를 전후로 과거와 같은 일시적은 움직임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과거 2004년의 시장상황은 미국의 조기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국제유가 등으로 아시아권 대부분 국가들의 증시가 급락하는 시기였다. 실제로 미국은 1.00%였던 기준금리를 2004년 6월부터 올리기 시작해 2006년 5월 5.25%에 이르기까지 가파른 인상을 단행. 결국 정치적인 이벤트 보다는 대내외적인 경제상황이 주식시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3월 FOMC, 국내 수출, 기업실적 개선 등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는 판단. 또한 2004년 FOMC가 금리인상을 시작하기 전까지 금리인상의 우려감이 시장을 억누르는 부담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이후 본격적인 미국 금리인상 기간에는 오히려 코스피지수가 동반 상승세를 이어갔다는 점에 주목.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