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캐나다·호주 등 신선란 수입…미국 AI發 계란값 상승 막는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TF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TF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미국에서 조류독감(AI) 발생 이후 국내 계란값이 오를 조짐을 보이자 캐나다, 호주 등 신선란 수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농림축산식품부, 미래창조과학부, 금융위원회와 함께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 대응 TF회의’를 열고 미국 AI 발생 대응 방향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지난 6일 미국산 신선란·닭고기 수입 금지 이후 국내 수급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산 신선란 수입량은 올해 1~2월 기준 국내 생산량의 1%가 안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리적 불안으로 계란값이 오르고 사재기 우려가 나오는 만큼 미국 외 다른 국가로부터의 계란 수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신선란의 경우 현재 수입이 가능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로부터 수입을 추진한다. 오는 24일 수입금지가 해제되는 덴마크와 태국 등도 수입 가능성을 타진한다. 또 농장·유통업체가 사재기나 재고량을 필요 이상으로 보유하는 일을 막기 위해 특별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닭고기의 경우 소비자 가격은 평년 수준이지만 산지 가격이 오름세에 있는 만큼 필요시 1만2,000톤의 정부 비축 물량을 방출해 가격을 안정시키기로 했다. 한국육계협회에 따르면 살아있는 닭의 산지 가격은 지난 6일을 기점으로 1kg당 2,690원으로 198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회의에선 지난 6일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도 점검했다. 정부는 주가는 상승세 지속, 원·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안정적 수준 유지 등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 영향이 거의 없다고 진단했다. 오는 16일 예정된 미국 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하면 시장 안정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으로 △시대에 뒤떨어진 규제 개선 △전략적 연구개발 투자 △고품질 데이터의 수집·유통·활용 촉진 방안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혁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간전문가 등과의 협의를 거쳐 4월 중 4차 산업혁명 종합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