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韓·日 겨냥해 탐지거리 3,000㎞ '중국판 사드 레이더' 설치

중국에 설치된 톈보(天波) 레이더 2기의 탐지범위./출처=톄쉐(鐵血)망 캡쳐중국에 설치된 톈보(天波) 레이더 2기의 탐지범위./출처=톄쉐(鐵血)망 캡쳐


중국이 최근 한국과 일본을 겨냥해 스텔스 장비도 탐지할 수 있는 최첨단 레이더를 네이멍구(內蒙古) 지역에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시간) 톄쉐(鐵血)망, 591젠쿵(監控)망 등 중국 군사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월경 한국과 일본의 수도 방향으로 최대 탐지 거리가 3,000㎞에 달하는 두 번째 ‘톈보(天波)’ 초지평선(OTH·Over The Horizon) 탐지 레이더를 설치했다.

중국이 설치한 레이더의 탐지 거리는 최근 미군의 한반도 배치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는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에 탑재된 X 밴드 레이더의 탐지 거리보다 길다.


또한 후베이(湖北), 허난(河南), 안후이(安徽) 등 3개 성의 교차지점에 설치된 첫 번째 톈보 레이더와 동시에 운용되면 서태평양 전역이 중국의 감시 아래 놓인다.

관련기사



중국이 새로 설치한 톈보 레이더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대국의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추진체의 열과 빛을 탐지해 발사 1분 후에는 레이더가 최종 타격목표를 확정할 수 있고 3분 후에는 조기 경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톄쉐망은 “중국도 최근 선보인 X 밴드 조기경보 레이더와 탄도미사일 조기경보위성 등과 함께 미국의 ICBM 발사에 대응하기 위한 용도의 국가 미사일방어(MD) 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주일미군의 해병 항공기지에 배치된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인 F-35B도 톈보 레이더의 실시간 탐지 범위 안에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이 레이더는 미국과 동중국해, 남중국해, 서태평양 등의 해상 주도권을 놓고 대립 중인 중국의 핵심 전력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