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육부 직업계고 인프라 개선에 6년간 1,200억 지원

교육부가 6년간 1,200억원을 투입해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 학습 인프라 개선에 나선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사업’ 계획을 13일 발표했다.


이 사업은 지난해 발표한 ‘중등 직업교육 학생 비중확대 계획’의 후속 정책이다. 열악한 직업계고 대상으로 학교 거버넌스 및 경영 전략, 교수·학습 방법, 교원 전문성 강화, 인프라 개선 등 혁신 유도가 목표다. 고졸 취업 문화 확산으로 2009년 16.7%였던 직업계고 취업률은 지난해 47.2%로 상승했지만, 직업계고 간 양극화가 여전해 전체적인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2017~2019년 1단계 사업에서 100개 학교를 선발해 학교당 1억∼3억원씩 매년 총 200억원을 투입한다. 2020∼2022년에도 추가로 100개교를 같은 방식으로 지원한다.


지원을 희망하는 학교는 필수사업과 선택사업을 조합해 신청하면 된다.

관련기사



필수사업은 각 학교가 지역 사회와 연계해 학교 특성에 맞는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학교 운영 시스템 개선을 도모한다. 학교 별로 고유의 브랜드를 구축하고 전통을 갖춘 학교 발전을 유도하는 것이 목표다.

선택사업으로는 학생 참여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 개발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단일교과형·교과융합형·실무형 등 다양한 수업모형과 창의적 프로젝트가 가능한 창작실, 미디어 제작실 조성을 지원한다.

이밖에 신청 희망 학교는 △학생 휴게실과 체육시설 △화장실 등 학생 생활·편의 시설 개선 △지역주민 대상 평생학습실 구축 △우수 취업처 발굴 등도 선택사업으로 택할 수 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