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베어 트랩(BEAR TRAP)'



조지 W 부시 행정부 끝 무렵인 2008년 3월14일(금요일) 오전5시. 헨리 폴슨 재무장관과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티머시 가이트너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긴급 전화회의를 열었다. 금융 수뇌부 3인방이 회의 끝에 내린 결론은 베어스턴스 구제금융. 상업은행인 JP모건에 연준이 대출해주고 이를 유동성 위기에 봉착한 베어스턴스에 우회 지원하는 방식이다. 뉴욕 증시 개장 30분 전 연준의 이런 발표에도 증시 급락은 멈추지 않았다. 구제금융 결정으로 급한 불은 껐다고 생각한 앨런 슈워츠 베어스턴스 최고경영자(CEO)는 퇴근길에 폴슨 장관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는다. “아시아시장이 개장하는 일요일 저녁까지 JP모건에 회사를 팔라.”


85년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 5위 투자은행의 사망을 선고한 통화 내용은 월가에 유명한 일화다. 미국 관치금융의 극치를 보여주는 이 통화 후 정확히 6개월 뒤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했다. 베어스턴스의 몰락은 닥쳐올 글로벌 금융위기의 전주곡이었다. 월가의 ‘곰 사냥’은 냉혹했다. 유동성 고갈 루머가 나돌더니 누군가 자금회수에 들어가자 너 나 할 것 없이 돈을 뺐다. 대규모 자금인출, ‘뱅크런’의 일종이다. 단 4일 동안 방어에 쏟아부은 자금은 183억달러.

관련기사



초유의 사태는 음모론을 키우게 마련이다. 호사가들은 금융황제 로스차일드 가문의 공격설과 ‘흙수저’ 집합소인 베어스턴스의 왕따설을 입에 올린다. 베어스턴스 몰락 1년 만에 나온 ‘베어 트랩(BEAR TRAP)’은 미스터리를 증폭시켰다. 베어스턴스 전 직원이 쓴 이 책은 미 금융당국이 쳐 놓은 덫(트랩)에 걸렸다는 게 요지다. 1998년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에 대한 월가 공동의 협조융자를 거부해 금융당국에 미운털이 박혔다는 소문과 같은 맥락이다. 베어스턴스가 왜 첫 희생양이 됐는지는 아직도 분분하다. 다만 그것이 음모론이든 뭐든 간에 자본시장은 약육강식의 정글이고 월가는 그렇게 진화해왔다. 오늘이 베어스턴스가 몰락한 지 9년 되는 날이다. /권구찬 논설위원

권구찬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