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탈북자 절반, 北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

인권위 북한이탈주민 인권의식 실태조사

탈북자 절반이 국내 정착 과정에서 상당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입국 이후에도 인권에 대한 충분한 교육조차 받지 못했다.

14일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북한 이탈주민 인권의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설문 참가자 480명 중 절반 가까이(45.4%)가 탈북 이후 남한에서 북한지역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학력ㆍ학벌, 비정규직, 나이, 경제적 지위 순으로 차별을 받기도 했다.

인권 침해를 경험해도 이들의 대처는 대체로 소극적이었다. 응답자의 27.7%는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고, ‘시민단체(탈북자 단체) 등에 도움을 요청했다’거나 ‘당사자 또는 해당기관에 시정을 요구했다’는 요청은 각각 16.2%, 13.6%에 그쳤다.


소극적 대처로 이어지는 데는 탈북자 대다수가 인권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교육 받거나 체계를 갖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탈북자의 무려 74.4%는 북한에서 인권이라는 용어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사생활을 보호받지 못하거나(85.6%), 공개처형을 목격하기도 하고(64%), 출신 성분에 따른 차별(35%)도 경험했다.

탈북 이후 남한에서 인권에 대해 접하는 경로 역시 TV 등 대중매체에 국한돼 있었다. 인권이라는 용어에 대해 자주 듣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54.6%, 가끔 듣는다는 비율이 39.8%였다. 거의 듣지 못한다는 응답도 5.6%에 머물렀다. 인권에 대해 접하는 경로도 TV가 63.1%, 신문이나 서적이 16%, 인터넷이 5.6%였다. 정규수업(1.5%)이나 강연 또는 연수(6.3%)라고 응답한 비율은 매우 저조해 체계적으로 인권에 대한 개념을 접할 기회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위 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거주 탈북자는 약 3만여 명에 이른다”며 “이들의 인권 수준이 낮거나 다른 국민과 인식 차이가 클 경우 원만한 남한 정착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인권 교육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