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치솟는 먹거리 물가...상승률 OECD 평균의 10배

AI에 설까지…전년 대비 5.3%↑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닭고기 가격/출처=연합뉴스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닭고기 가격/출처=연합뉴스




연초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에서 최고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에 따른 닭고기 가격 급등,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3% 급등했다. 이는 OECD 가입국 평균(0.4%)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정치 혼란과 테러 등으로 경제난을 겪고 있는 터기(7.8%)와 지난해 OECD에 가입한 라트비아(6.2%)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우리나라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로 OECD 회원국 평균(2.3%)보다 오히려 낮은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유독 먹거리 물가만 급등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육류, 어류, 과일, 채소, 곡물, 과자류나 조미료, 생수 등 국가별로 많이 소비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있다.

관련기사



국내 식료품 물가가 급등한 것은 AI 때문에 빚어진 달걀 수급난이 1월 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된 데다 설 명절을 앞두고 무·배추·당근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당분간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당월 국내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전월 대비(5.3%)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9%)을 크게 웃돌았다.

미국의 AI 발생으로 미국산 신선란·닭고기 수입이 지난 6일부터 중단되면서 달걀·닭고기 가격 추가 상승도 우려된다.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육계 산지 가격은 지난 10일 kg당 2,327원으로, 전년 동월(kg당 1,373원)보다 69.4% 올랐다. 치킨 업계 1위인 BBQ 치킨까지 오는 20일부터 가격을 인상하기로 하면서 업계 전반에 걸쳐 가격이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 AI 발생에 따른 미국산 신선란·닭고기 수입 중단이 국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하겠다”며 “닭고기 생산자단체 등에도 가격 인상 자제 협조를 요청하고, 필요 시 비축물량을 방출해 가격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