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블랙리스트' 北은행들, 국제금융거래망에 잔류

조선무역·금강·고려신용개발·동북아 은행 등 4곳

미국의 독자 제재 대상이라 퇴출 안된 상황

EPA연합뉴스EPA연합뉴스




미국 블랙리스트에 오른 북한의 은행들이 여전히 국제금융거래망에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소식통을 인용해 4개 이상의 북한 은행이 아직 SWIFT에 잔류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직까지 퇴출되지 않은 북한 은행은 조선무역은행과 금강은행, 고려신용개발은행, 동북아은행 등이다. 이 가운데 조선무역은행은 2013년에 미국 재무부에 의해 경제제재대상이 됐으며, 나머지 3개 은행은 작년 12월에 블랙리스트에 추가됐다. WSJ는 미국의 제재를 받는 은행들이 국제금융거래망에서 퇴출되지 않은 것은 국제사회의 북한 압박이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SWIFT는 최근에 조선대성은행, 조선광선은행, 동방은행을 퇴출시켰다. 이들 은행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다. 아직 SWIFT에 잔류하는 북한의 금융기관은 안보리의 제재대상은 아니지만 미국의 제재대상인 은행들이다.

관련기사



미국에서 제재키로 결정한 은행들이 SWIFT에서 퇴출되지 않은 것은 이 시스템의 성격에서 비롯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가 간 자금거래를 위해 1977년 설립된 SWIFT는 벨기에에 본부를 두고 벨기에 정부의 관리하에 있으며 유럽연합(EU)의 움직임에 맞추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독자적으로 내린 제재를 SWIFT가 따라야 할 의무는 없다.

SWIFT는 WSJ에 “특정 국가나 개인에 대해 제재를 부과하거나 해제하는 것은 정부기관과 규제당국의 몫”이라면서 “우리는 EU의 규제에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SWIFT의 감독관청인 벨기에중앙은행은 “제재는 벨기에 정부의 소관이다. 중앙은행의 일이 아니다”고만 밝혔으며, 벨기에 재무부는 이번 일에 대한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