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민주당, 5년전 '모바일 투표 갈등' 재연 없다

"투표 종료됐으니 끊으셔도 됩니다"

ARS 투표에 안내 메시지 넣기로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들/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들/연합뉴스




5년 전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 ARS(자동응답시스템) 방식 모바일투표와 관련해 논란을 빚었던 더불어민주당이 이번에는 ‘안전장치’를 마련해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15일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24일부터 시작되는 ARS 투표에는 투표 전 ‘지지하는 투표의 기호를 눌렀더라도 중간에 끊으면 무효가 된다’는 내용의 멘트가 사전에 안내될 예정이다. ‘투표가 종료됐으니 끊으셔도 좋다’는 내용의 멘트도 마지막에 넣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당이 세심하게 ARS 투표 사전·사후 안내 멘트를 넣는 것은 5년 전 대선후보 경선 당시 ARS 모바일 투표로 경선이 아수라장이 됐던 기억 때문이다.

관련기사



가장 논란이 됐던 것은 투표 후 후보 안내 메시지를 끝까지 듣지 않고 전화를 끊으면 이를 투표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했다는 점이다. 기호 1∼3번이었던 정세균·김두관·손학규 후보는 자신을 지지한 유권자들이 번호를 누르고 바로 전화를 끊어 이들의 표가 미투표 처리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기호 4번인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은 상대적으로 전화를 끊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 ‘비문’ 후보들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지적이었다.

낮은 투표율이 그 근거였다. 실제로 2012년 8월 25일 첫 경선지역이었던 제주 경선결과에서 전체 선거인단의 90.8%에 달했던 선거인단 3만6,329명 중 투표에 참여한 사람은 1만9,345명으로 투표율이 58.6%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당 대선경선기획단이 ARS에 ‘끝까지 듣지 않으면 미투표 처리될 수 있다’는 사전 안내 멘트를 넣으라고 했으나 당 선관위가 이를 넣지 않은 사실이 알려져 논란은 더욱 커졌다. 후보들의 기호를 무작위로 섞어 안내하면 그나마 유불리 요인을 줄일 수 있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은 점 또한 논란을 가중시켰다. 이로 인해 이튿날 열린 울산 지역 경선에서는 비문 후보들이 나타나지 않아 후보연설회는 하지도 못하는 파행이 빚어지기도 했다.

ARS에서 후보를 부르는 순서를 섞지 않고 기호순으로 이재명-최성-문재인-안희정 후보 순으로 부른다는 점은 5년 전과 변함없으나 전화를 중간에 끊으면 안 된다는 멘트가 앞뒤로 나와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게 당의 입장이다. 후보들 사이에서도 ‘이중 안전장치’가 마련된 조건에서는 기호에 따른 유불리가 없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