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中 사드보복 본격화, 7개 국제공항 中 노선 여객 감소

7개 국제공항 중국노선 여객수 일별 추이. /자료제공=한국공항공사7개 국제공항 중국노선 여객수 일별 추이. /자료제공=한국공항공사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 보복 조치로 인천을 제외한 7개 국제공항 중국노선 항공여객이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13일 기준 인천을 제외한 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무안·양양 등 7개 국제공항 중국노선 항공 여객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5% 감소했다.

특히 제주·청주·무안공항 등 중국노선 비중이 높은 곳은 한국여행 금지령이 길어질수록 여객 감소 폭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공항공사는 15일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가 장기화 할 경우를 대비, 위기대응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이날 긴급대책회의를 열었다.

관련기사



이 자리에서 공사는 ‘전세편 인센티브제’를 실시해 지방공항과 동남아, 러시아 등을 잇는 노선 다변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그 동안 추진해 온 대만노선 개설 등을 통해 김포공항 국제선을 다양화 하겠다는 대안도 내놨다. 김해 등 다른 국제공항에서도 유럽, 일본, 동남아 등으로 항공노선을 신·증설하기 위해 국토부와 협의를 해나가겠다고 했다.

공사는 추가 피해가 예상되는 공항 면세점과 저비용항공사 등 항공업계와 공동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오는 23·29일에 차례로 공항면세점 대표 대책회의, 국적 저비용항공 사장단 회의도 열기로 했다.

성일환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최근 ‘중국노선 수요 감소’라는 위기를 항공노선 개발과 여객유치 전략 재검토의 전환점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