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사회발전연구소 공동연구진은 2016년 6~11월 전국의 만 18세 이상 1,052명(남성 476명, 여성 576명)을 대상으로 정치적 냉소주의 정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정치인들은 나라 걱정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는 문항에 87.3%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대답은 5.3%에 그쳤고 ‘보통’ 응답은 7.3%였다.
‘정치인들이 좋은 말을 하는 것은 단지 표를 얻기 위한 것이다’라는 문항에 대해서도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85.5%에 달했고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겨우 5.3%에 불과했다. ‘보통’이란 응답은 9.1%였다.
또 ‘정치인들이 하는 말을 믿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란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도 73.4%였다. ‘그렇지 않다’란 응답은 9.1%, ‘보통’ 응답은 17.4%였다.
정치인에 대한 이런 냉소주의적 태도는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가구소득 수준별, 거주지역별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가족 간 정치 대화 빈도와 정치적 냉소주의 정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끼리 정치 대화를 매우 자주 하는 집단과 전혀 하지 않는 집단에서 정치인에 대한 냉소적 태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가족 간에 정치 대화를 많이 하는데도 정치적 냉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을 두고 가족 간 정치 관련 대화가 많이 오고 갈수록 정치지식이 많아지고 정치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해지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