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SK 임원 줄소환…대기업에 칼날 세우는 檢

김창근·김영태·이형희 3명 불러

최태원 사면 청탁 등 집중 조사

롯데·CJ로 수사 확대 방침

박근혜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SK그룹 전현직 고위급 임원들을 줄소환하면서 대기업 수사에 고삐를 당기고 있다. 검찰은 SK를 시작으로 롯데와 CJ 등 다른 의혹 기업으로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16일 김창근 전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김영태 전 커뮤니케이션위원장(부회장), 이형희 SK브로드밴드 대표 등 3명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오전9시45분께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김 전 의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최태원 회장 사면을 청탁했느냐’는 질문에 “그랬겠느냐”고 부인했다. 최 회장 사면 후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감사 문자’를 보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안 전 수석은 사면과는 관련 없어 보이는 분”이라고 말했다.

김 전 의장은 지난 2015년 7월 당시 수감 중이던 최 회장을 대신해 박 전 대통령과 독대한 인물이다. 대통령 독대 이후 한 달여 만에 최 회장은 대기업 총수 가운데 유일하게 광복절 특사로 풀려났다. SK그룹은 이후 미르재단에 68억원, K스포츠재단에 43억원을 각각 출연했다.


검찰은 2015년 면세점 사업에서 탈락한 SK그룹이 면세점 선정과 관련해서도 청탁했을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은 이날 소환된 전현직 임원들의 조사 내용에 따라 최 회장 소환 여부도 검토할 방침이다. SK그룹 측은 “면세점 특혜 등과 재단 출연, 추가 지원은 전혀 관련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 사면은 총수 부재에 따른 김창근 전 의장의 당연한 소임이었고 읍소에 불과했다”며 “면세점 로비가 사실이라면 SK그룹이 면세점 심사에서 3번 연속 떨어질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검찰은 SK 수사를 시작으로 재단 출연 기업 중 ‘대가성’ 의혹이 제기되는 롯데·CJ그룹에 대해서도 수사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 특수본 관계자는 두 기업 수사 가능성에 대해 “필요하다면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 자택 압수수색 가능성과 관련해 “현재 상황에서 ‘압수수색을 위한 압수수색’은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고 부정적 시각을 나타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