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백브리핑] 금융협회 '관피아' 사라질까

여신금융協·저축銀중앙회 등

'2인자' 임기 내달 중순 만료

탄핵 계기 낙하산 근절 기대

여신금융협회·저축은행중앙회 등 일부 금융권 협회의 ‘2인자’ 자리 임기가 임박하면서 업계에서 후임으로 누가 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기연 여신금융협회 부회장과 정이영 저축은행중앙회 전무의 임기는 각각 다음달 22일과 20일 만료된다. 일각에서는 대통령 탄핵이 ‘낙하산 인사’를 근절할 수 있는 또 한번의 계기가 되지 않을까 기대하는 모양새다.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낙하산 인사 문제에 비판적 여론이 확산되면서 주요 금융협회장은 업계 경력을 갖춘 민간 출신들로 채워졌다. 반면 현 정권 임기 후반기에 접어들자 금융협회 2인자 자리인 전무직에는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 ‘금피아’ 출신들이 속속 둥지를 틀었다. 현재 은행연합회·생명보험협회·여신금융협회·저축은행중앙회·손해보험협회 등 6대 금융협회의 전무 또는 부회장직은 금융 당국 출신이 모두 꿰차고 있다.

관련기사



낙하산 인사를 없애려는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은행연합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헙협회 등 6개 협회는 관료 출신 낙하산 인사에 대한 논란을 잠식시키고자 부회장직을 폐지하고 전무 자리를 신설했다. 그러나 적임자가 없다는 이유로 해당 전무직을 오랜 기간 공석으로 비워둔 뒤 슬금슬금 다시 관피아들이 자리를 넘보기 시작했다. 협회장들만 민간 출신으로 채워 형태만 마련했을 뿐 2인자 자리의 직책은 여전히 관피아의 전유물로 여겨지고 있는 셈이다.

다음달 여신금융협회와 저축은행중앙회 전무 자리에 내부 승진이 이뤄지거나 민간 출신 인사가 영입될 경우 업계에는 새로운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의 경우 전무 자리에 내부 승진이 이뤄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면서 “지금 격변기인 만큼 금융협회에도 변화를 기대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