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첩보원, 말레이서 합작 사업 통해 세력 키워

북한 공작원들은 말레이 현지 법인과 합작사업을 하는 방식으로 위장신분을 제공받았다.사진은 말레이시아의 북한 대사관의 모습./연합뉴스북한 공작원들은 말레이 현지 법인과 합작사업을 하는 방식으로 위장신분을 제공받았다.사진은 말레이시아의 북한 대사관의 모습./연합뉴스


북한이 말레이시아를 김정남 암살사건의 전초기지로 삼을 수 있을 만큼 세를 확장할 수 있었던 비결은 현지 법인과의 합작사업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17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국영 베르마나 통신은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공작원들이 대북제재를 피해서 첩보 활동을 할 때 주로 민간업체를 전면에 내세웠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민간 사업가로 신분을 위장해 합법적으로 체류하면서, 대북제재 리스트에 오른 금수물자들을 거래하거나 자금 세탁을 하는 등의 불법 활동을 이어왔다.

통신은 북한의 첩보활동에 정통한 소식통의 말을 빌려 이들 북한 공작원들은 자금 확보를 위해 말레이 현지에서 민간 기업을 설립했고, 이를 통해 지난 2010년 제정된 말레이시아의 전략교역법에 저촉되는 물품 거래에 관여해왔다고 전했다.


말레이 정보당국은 지난 2005년 미국이 북한 정권의 통치자금을 관리해온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 은행(BDA)을 자금세탁 혐의로 제재함에 따라 자국 내 북한 국적 기업들의 불법적인 활동들에 대해서 대응조치를 취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그러나 북한은 말레이시아 당국의 규제를 교묘하게 피해 활동을 이어왔다.

소식통은 북한 공작원들이 “현지인과 합작으로 새 업체를 시작한 뒤 임원이나 주주 등 직위를 차지했다”며 “이렇게 연결된 현지인들은 북측의 정보원 역할을 하거나 그들이 말레이시아에서 활동하기 위한 포석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북한 공작원들은 특히 현지 유명인사와 합작으로 업체를 설립하거나 회사 내 임원으로 고용하는 방식으로 위장신분을 얻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말레이시아 집권여당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 베테랑클럽의 무스타파 야쿱 사무총장도 북한 공작원들과 함께 회사를 설립했다가 당국으로부터 북한과 수상한 거래에 관여되지 말라고 경고를 받은 뒤 합작을 중단한 바 있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