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생각이 실종된 어느 날> 씹을 때마다 다른 맛, 브레히트 산문집

■베르톨트 브레히트 지음, 이후 펴냄



“코이너 씨는 작별을, 인사를, 기념일을, 축제를, 작업의 마감을, 새로운 인생 단계의 시작을, 결산을, 복수를, 확정판결을 싫어한다.” (114쪽 ‘코이너 씨가 싫어하는 것’ 전문)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로도 유명한 베르톨트 브레히트(1898~1956)는 종종 ‘코이너 씨’ 혹은 ‘K씨’를 앞세워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날렵한 풍자를 내뱉곤 했다. 산문집 ‘생각이 실종된 어느 날’은 브레히트가 30년에 걸쳐 쓴 짤막한 글들을 모았다. 한쪽을 채 넘지 않거나 몇 줄에 불과한 산문이지만 시(詩) 이상의 은유가 깔려 있다.


‘생각의 아버지’라는 글에서 K씨는 ‘희망을 생각의 아버지라 여긴다’는 것에 대해 비난받자 “희망이 아버지가 아닌 생각은 결코 있을 수 없다. 다만 그게 어떤 희망인지 하는 논란은 벌어질 수 있다. 친부 확인이 어렵다고 해서 아이에게 아버지가 없다고 의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라고 받아친다. “희망은 생각의 아버지야”라는 표현은 400년 전 셰익스피어가 희곡 ‘헨리 4세’에 적었던 대사다.

관련기사



“대중의 분노를 산 사람을 가르치기란 어려워. 그러나 이들이야말로 특히 가르침이 필요하지. 그러니 더 특별히 가르쳐야 해”(85쪽 ‘분노와 가르침’ 일부)처럼 별스럽지 않은 듯한 문장에 변증법적 사고가 담겨있어 질겅질겅 씹고 또 씹을수록 맛이 난다. 1만2,000원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