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민의당 대선주자들 '연대론' 싸고 기싸움 팽팽

안철수 "대선 후" vs 손학규·박주선 "대선 전"

첫 TV토론서...대북정책·일자리해법 등도 격론

안철수(왼쪽부터) 전 국민의당 대표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KBS 국민의당 대선후보 경선토론’ 시작 전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안철수(왼쪽부터) 전 국민의당 대표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KBS 국민의당 대선후보 경선토론’ 시작 전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 대선후보들이 18일 첫 TV토론을 열고 ‘대선 전 연대론’을 비롯한 주요 의제와 국정 현안을 놓고 격돌했다.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박주선 국회 부의장은 이날 오전 9시 KBS가 주최한 ‘선택 2017, 누가 국민의 마음을 얻을 것인가’ 생방송에 출연해 1시간 30여분 동안 격론을 펼쳤다.

주자들은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대선 전 연대론과 대북정책, 위안부 합의,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경제정책,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등을 놓고 대립각을 세웠다.

안철수 전 대표는 대선 전 연대론과 관련해 “정치인과 정당은 자신이 어떤 나라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만들고 국민의 평가를 받은 뒤 선거 이후에 개혁세력을 결집해 정국 운영을 하는 게 맞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바른정당 등과의 연대는 오히려 스스로 힘을 빼는 일”이라며 “스스로 못 믿는데 어떻게 국민에게 믿어달라 하느냐”고 자강론을 펼쳤다.

이에 대해 손학규 전 대표는 “국민의당이 39석이다. 현실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면서 “정권에 참여할 수 있다는 약속을 하고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선(先) 연대론을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이 되면 개헌을 이렇게 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연립정권과 개혁통합 정권을 만들어 대통합 과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주선 국회 부의장은 “집권을 하려면 국민의당을 갖고는 안 된다는 여론이 많다”면서 “저는 부패, 패권, 국정농단세력을 제외하고 옳고 바른 나라를 만들겠다는 우리 이념에 동참하는 모든 개혁세력은 함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경선주자들은 외교·안보문제와 관련해 굳건한 한미동맹 속 남북대화 추진이라는 대전제에 공감대를 보인 가운데,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와 위안부 문제 등을 놓고 뚜렷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안 전 대표는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해 “우리가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조건 테이블을 만들고 거기에서 일괄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고, 손 전 대표는 “개성공단 가동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는 것을 바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부의장은 “북한의 태도 변화 가능성도 없는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는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일본군 위안부 합의 논란을 놓고도 안 전 대표와 손 전 민주당 대표는 재협상에 방점을 찍었지만, 박 부의장은 국가 간 합의를 기본적으로 존중하면서 추가 협상할 것을 주장해 온도차가 드러났다.

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는 주자들이 반대 입장을 표명하지 않은 채 주변국과의 협의를 통해 해결할 것을 주문했다.

박 부의장은 “우리 안보 차원에서 사드 배치를 한다는 데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당론과 달리 사드 찬성 입장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안 전 대표와 손 전 대표는 주변국 간의 협의를 통한 문제 해결을 강조했을 뿐 뚜렷한 찬반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날 토론회에서 대선주자들은 상호 질의응답 형식이 없어 각 주자가 주요 이슈에 대해 각자의 콘텐츠를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