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19세기 병풍 그림서 정약용 미공개 詩 3수 찾았다

정민 한양대 교수, 계간지 ‘문헌과 해석’에 논문 발표

리움 소장 '표피장막책가도', 화가가 다산 시첩 보고 그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품인 ‘표피장막책가도’ 속 다산의 시첩.  /연합뉴스삼성미술관 리움 소장품인 ‘표피장막책가도’ 속 다산의 시첩. /연합뉴스




삼성미술관 리움이 소장하고 있는 19세기 병풍 그림인 ‘표피장막책가도’에서 다산 정약용(1762∼1836)이 강진 유배 시절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가 발견됐다. 화가가 다산의 시첩을 보고 그려넣은 것으로, 시첩에 적힌 시 세 수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다.


정민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계간지 ‘문헌과 해석’ 봄호에 표피장막책가도 속의 시첩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른바 ‘호피장막도’로도 불리는 표피장막책가도는 가로 355㎝, 세로 128㎝ 크기의 8폭 병풍이다. 그중 여섯 폭에는 표범가죽 장막만 그려져 있고, 두 폭에는 표피 장막 아래에 책상과 각종 기물이 묘사됐다.

관련기사



정 교수는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서첩에 주목했다. 이 서첩에는 ‘산정에서 대작하며 진정국사의 시에 차운(次韻, 남의 운자를 써서 시를 지음)하다’(山亭對酌次韻眞靜國師)라는 제목의 시 한 수와 ‘산정에서 꽃을 보다가 또 진정국사의 시운에 차운하다’(山亭對花又次眞靜韻)라는 제목 아래에 딸린 시 두 수가 적혀 있다. 다만 마지막 시는 5행 중 2행만 있다. 시첩에 실린 시들은 “흔들흔들 나무 집은 원래 속세 벗어났고/ 둥실둥실 뗏목 정자 내 몸을 부칠 만해/ 모두들 남방은 살기 좋다 말하더니/ 술 익고 생선 살져 또 서로를 부르누나”(搖搖樹屋元超俗/泛泛<사(木+差)>亭可寄吾/總道南方生理好/魚肥酒熟又相呼)라는 구절처럼 편안한 생활을 주제로 삼았다.

정 교수는 “그림 속에서 다산의 시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서첩의 두께로 보아 많게는 20수 남짓한 시가 수록됐을 것”이라며 “화가가 그림 속에 그리고 싶었을 정도의 장정과 글씨였다면 상급의 다산 시첩이었을 텐데 행방을 알 수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문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