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신기술보급사업’농가소득 증가…시범사업 확대 필요

농촌진흥청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한 신기술을 농가 시범사업에 적용한 결과 농가 소득 향상으로 이어져 시범사업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20일 밝혔다.

신기술 투입을 통한 농업 생산성은 관행 농가 대비 24.5% 높아졌으며 농가소득은 32.1% 늘었다.

‘신기술보급사업’은 지방농촌진흥기관에서 국고보조를 통해 연간 140여종 900여개소에서 추진 중이다. 기술 투입 효과가 입증된 과제는 중앙이나 지방자치단체로 확산해 국내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농업인의 기술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신기술보급사업 성과분석 연구보고서 결과에 의하면 완료과제(38종)에 대한 총 경제적 효과(편익)은 1,600억여 원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인 신기술보급사업 확산사례로는 2010~2012년에 시범사업으로 추진한 과수 우산식 지주재배 실천면적은 2016년에 6,178ha로 늘었으며, 토마토 어린묘 2줄기 재배는 2013~2015년 시범사업을 통해 2016년에는 540ha로 확대된 기술보급 성과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신기술보급사업’은 농진청에서 추진하는 대표적인 기술보급 사업으로써 최신기술을 현장에 신속히 확산하기 위해 신규과제를 해마다 선정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선정체계를 더욱 고도화해 현장실증이 완료된 12과제를 대상으로 사전 경제성 분석을 시행했으며 소득증대 효과가 높은 사업에 대해서는 2018년도에 우선 보급할 계획이다.

김봉환 농진청 기술보급과장은 “신기술보급사업은 농가소득증대 등 기술투입효과가 높은 기술을 사업화해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며 “앞으로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농식품 환경변화에 대응해 융복합 기술이 농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