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혼남녀 10명 중 4명 “자식 없어도 괜찮다”

20·30대 미혼남녀 10명 가운데 4명꼴로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거나 없는 게 낫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무총리실 산하 육아정책연구소의 ‘청년층의 비혼에 대한 인식과 저출산 대응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39세 미혼남녀 1,073명(남자 536명, 여자 537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자녀가 있는 것이 낫다’는 응답은 42.9%를, ‘자녀가 없어도 괜찮다’는 답변은 36.2%를 각각 차지했다.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14.8%에 그쳤으며 ‘자녀가 없는 것이 낫다’는 답변은 6.1%였다.

조사 대상자의 77.4%는 ‘자녀가 없어도 행복한 결혼생활이 가능하다’는 데 동의했다. 반면 ‘노후에 외롭지 않으려면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에 동조한 응답자도 절반 이상인 52.9%를 나타냈다.


특히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양육할 수 없다면 자녀를 낳지 않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62.6%에 달해 미혼남녀들은 자녀양육에서 경제적 조건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결혼 후 출산 의향에 대해서는 75%가 ‘아이를 낳을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나머지 25%는 ‘경제적 부담’과 ‘아이에게 구속받지 않고 싶어서’ 등의 이유로 ‘자녀를 낳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다.

출산·양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조건에 대해서는 1∼2순위 복수응답을 모두 합산해 ‘경제적 안정’이 77.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과 가정 양립의 기업문화 개선’ 34.4%, ‘배우자와 가사·육아 분담’ 32.2%, ‘보육시설’ 15.4% 등의 순이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