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나혼자 산다...작년 혼인율 8%P↓

경제난에 결혼 연기·포기 재연 조짐



지난해 우리나라 남녀 혼인율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때처럼 극심한 경제난·취업난으로 결혼을 대거 미루거나 포기했던 현상이 재연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일반혼인율은 남녀 모두 1년 전보다 7.7% 감소했다.


일반혼인율은 15세 이상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말한다. 2015년만 해도 남녀 혼인율은 2.1~2.2% 줄어드는 데 그쳤으나 올해 들어 감소폭이 더욱 커졌다. 특히 지난해 감소율은 1997년(-11.8~-12.0%) 이후 가장 큰 수치다.

관련기사



20대의 혼인율은 평균보다 하락 폭이 더 크다. 남자의 경우 20대 초반은 12.0%, 20대 후반은 10.7% 감소했다. 20대 후반 남자 혼인율은 36.8건으로 10년 전(56.7건)과 비교하면 35.1%나 줄었다. 20대 초반과 후반 여자 혼인율도 각각 10.9%, 8.8% 감소했다. 20대가 결혼을 미루면서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2.8세, 여자 30.1세로 전년보다 각각 0.2세, 0.1세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높은 실업률, 집값 상승 등 혼인과 관련한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다 보니 결혼을 대거 미루거나 포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결혼을 꼭 할 필요는 없다’는 사회 인식이 늘고 있고 20대 후반~30대 초반 인구 자체가 줄어든 것도 혼인율 감소에 일부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제 위기 때는 결혼을 할 여력이 없어 최대한 미루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최근 혼인율을 보면 사람들이 지금의 불황을 외환위기 급으로 인식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고 지적했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