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발걸음 분주한 삼성·LG…하반기 '페이戰' 승자는

"생태계 넓히자" 삼성, 생태계 공격적 확장

인도에 삼성페이 정식 출시…"총 12개국가서 지원"

"삼성페이 따라잡자" LG, 파트너 협력관계 구축

글로벌 회사 다이나믹스 기술 품고 신용카드사들과 협력

김홍주(오른쪽) LG전자 MC사업본부 상품기획그룹장 와 제프 뮬런(Jeff Mullen) 다이나믹스 최고경영자(CEO)가 LG페이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협력계약을 체결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김홍주(오른쪽) LG전자 MC사업본부 상품기획그룹장 와 제프 뮬런(Jeff Mullen) 다이나믹스 최고경영자(CEO)가 LG페이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협력계약을 체결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하반기 ‘모바일 페이’ 경쟁을 준비하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LG전자가 ‘LG페이’의 본격적인 서비스를 위해 국내·외 기관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사이 삼성전자는 ‘삼성페이’의 생태계 확장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22일 삼성전자는 인도시장에 삼성 페이를 정식으로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인도를 포함해 한국·미국·중국·스페인·러시아 등 총 12개 국가에서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하게 됐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현지 액시스은행, 주택개발은행, 스탠다드차터드은행, 씨티 등 주요 7개 은행·카드사와 협력해 신용 카드와 직불 카드 서비스를 삼성 페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인도 시장에 특화된 맞춤형 부가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현지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페이티엠(Paytm)’과 연동해 소비자들이 삼성 페이에서 페이티엠 계정을 통해 P2P송금, QR·바코드 결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추후 인도 결제 공사(NPC)에서 제공하는 P2P송금 서비스 등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인도 법인의 아심 와르시(Asim Warsi) 전무는 “인도는 기술에 대한 수용이 매우 빠른 시장으로 화폐 개혁을 통해 디지털 결제가 크게 탄력받고 있다”며 “인도 소비자들에게 가장 스마트한 디지털 월렛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외에도 모든 스마트폰에서 삼성페이를 사용할 수 있는 ‘삼성 미니’와 자사 솔루션을 기반으로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삼성페이 쇼핑’을 선보이는 등 세력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이를 따라잡기 위한 LG전자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이날 LG전자는 글로벌 결제 솔루션 기업인 ‘다이나믹스’와 기술협력계약을 체결하고 모바일 결제에 필요한 ‘WMC’ 기술을 도입하기로 했다. WMC는 다이나믹스가 2007년 개발한 독자적인 모바일 결제 기술로, 모바일 기기에서 마그네틱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일반 신용카드 단말기에 대면 결제되는 방식이다.

LG전자는 지난 10일 한국에 출시한 전략 스마트폰 ‘G6’에 이미 LG페이 하드웨어를 탑재했으며, 향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오는 6월부터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미 7개 신용카드사가 참여를 결정했으며 카드사별 서비스 일정은 추후 공지한다. 이를 위해 철저한 필드테스트와 검증도 병행하고 있다. 오프라인 결제 외에도 온라인 결제, 멤버십, 은행업무 등 다양한 결제 및 금융 서비스로도 기능을 확장할 계획이다. 김홍주 LG전자 MC상품기획그룹장은 “다이나믹스는 모바일 결제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보유한 전략적 파트너”라며 “국내에서 6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는 LG페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