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일반인도 개 등 반려동물 사료 쉽게만든다

농진청 ‘반려동물 집밥 만들기’프로그램 개발

일반인도 개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 사료를 쉽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사료제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도 개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 사료를 과학적이고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는 ‘반려동물 전용 집밥 만들기 웹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농축산물과 수산물 등 농진청이 엄선한 식품 307종과 이들 식품의 단백질·지방·칼슘 등 17가지 영양성분 자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설계했다.


이용자가 프로그램에 접속해 동물(개·고양이) 품종과 성장·활동 단계, 체중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원료를 선택하면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사료 배합비율과 급여량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누리집(www.nongsaro.go.kr →생활문화)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반려동물 관련 산업 시장규모는 지난 2012년 9,000억원에서 2015년 1조8,000억 원으로 2배나 커졌다. 이중 사료 시장은 30% 내외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나 프리미엄 사료 시장의 경우 수입 브랜드가 70% 이상 점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애견카페나 중·소규모 반려동물 사료 업체 등에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사료를 제조하면 신제품 개발을 통해 주문형 사료 시장에 바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수입 브랜드 비중이 큰 국내 사료 시장에 국산 제품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유림 농진청 축산생명환경부장은 “반려동물을 위해 직접 사료를 만들어 먹이려는 소비자의 요구는 커지고 있지만, 시판 사료의 경우 원료종류·배합비 등은 업체의 기밀이기 때문에 수제 사료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이 국내 사료 시장의 고급화에 대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제 사료의 신뢰도향상에도 기여해 국산 사료 자급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료 시장에 뛰어든 예비 창업자와 이미 진입한 이들이 하드웨어 중심의 단순 사료 제조에서 영양학적 지식이 녹아든 소프트웨어까지 이용할 수 있어 수입 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국산사료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