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대우조선해양 정상화를 위해 채권은행과 회사채 투자자들이 3조8,000억원에 달하는 출자전환과 채무조정에 합의하면 신규자금 2조9,0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이렇게 되면 지난 2015년10월 4조2,000억원을 지원한 데 이어 2년도 안돼 다시 6조7,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게 되는 것이다. 당국은 내달 14일 사채권자집회를 동시에 열고 이 같은 대우조선 정상화 방안에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하면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를 연계한 프리패키지 플랜(P-플랜)에 집어넣는다.
대우조선의 주채권기관인 산업은행은 23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대우조선을 워크아웃이나 법원의 회생절차에 집어넣지 않고 대신 모든 채권자가 손실을 나눠 진다면 국책은행이 새로 2조9,000억원을 투입해 대우조선을 살려낸다는 복안이다.
당국은 이를 위해 채권은행 등 이해관계자에게 채권의 출자전환과 만기연장을 제안했다. 우선 1조5,000억원 규모의 회사채와 기업어음(CP)의 경우 채권자들에게 절반은 출자전환으로, 절반은 만기연장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만기연장분의 금리는 3% 이내다.
또 시중은행이 보유한 7,000억원의 무담보 채권은 80%를 출자전환하고 20%는 만기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산은과 수출입은행은 1조6,000억원의 무담보 채권을 100% 출자전환할 방침이다.
새로 투입할 자금의 2조9,000억원도 이같은 채무재조정이 이뤄졌을 때를 가정한 산정이다.
계산은 이렇다. 우선 정부는 신규수주 전망이나 자산매각 진도 등을 보수적인 관점에서 파악했을 때 대우조선해양의 부족 자금을 최대 5조1,000억원으로 봤다. 현재 대우조선에는 지난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지원했던 1조8,000억원 가운데 4,000억원이 남아있다. 여기에 당국이 제시한 1조5,000억원 규모의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조정이 성공하면 필요자금은 다시 3조 2,000억원으로 줄어든다. 이와 함께 금융기관이 채무재조정을 통해 줄어드는 금융비용이 3,000억원이다. 이를 필요자금에서 모두 제외하면 2조9,000억원이 나오는 식이다.
당국은 사채권자들이 출자전환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으로는 올 하반기 대우조선의 재상장 방안을 내놨다. 전환 주식을 현금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이야기다.
만약 채권조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 다음은 P플랜이다. 당국 관계자는 “사채권자와 은행들의 자율 채무조정 합의가 무산되면 법적 강제력을 활용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며 “통상 회생절차를 추진하면 일정기간 정상 경영이 불가능하고 건조중단이 발생해 사실상 청산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국은 자율 채무조정과 신규 자금 투입 방안이 성공할 경우 2021년께 현재 2,732% 수준인 부채비율이 257%로 줄고 영업이익도 현재 13% 적자에서 1%내외의 흑자를 기록해 이자비용을 스스로 충당할 수 있는 수준에 오를 것으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