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실처럼 짜는 전자옷감 개발

일반 실과 메모리소자용 실을 이용하여 일반 베틀을 사용해 옷감 형태로 제작했다./사진=안국연구재단일반 실과 메모리소자용 실을 이용하여 일반 베틀을 사용해 옷감 형태로 제작했다./사진=안국연구재단





실처럼 짜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옷감이 개발돼 웨어러블 기기 제작에 다양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한국연구재단은 26일 이미정 국민대 교수와 황철성 서울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알루미늄이 코팅된 실과 탄소섬유를 이용해 ‘저항변화 메모리’ 특성을 갖는 전자옷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저항변화 메모리는 물질의 저항 차이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정보가 유지돼 플래시 메모리를 대체할 차세대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전자옷감은 전자소재를 실 형태로 직조해 완전히 옷감화된 것으로 구부러지거나 뒤틀리거나 세탁해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완전한 옷감의 형태를 갖고 있어 옷감 위에 부착하는 기존의 전자옷감과는 전혀 다르다. 또 여러 소자를 엮고 잇는 등 작은 부분의 소자가 손상돼도 성능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미정 국민대 교수/사진=한국연구재단이미정 국민대 교수/사진=한국연구재단


황철성 서울대 교수/사진=한국연구재단황철성 서울대 교수/사진=한국연구재단


조안재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연구원/사진=한국연구재단조안재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연구원/사진=한국연구재단


서영대 국민대 연구원/사진=한국연구재단서영대 국민대 연구원/사진=한국연구재단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