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생기원, 철강부품 내구성 높이는 기술 中企에 이전

국내 연구팀이 열처리 공정을 통해 내구성과 체결력을 대폭 향상 시킨 저온 진공 침탄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전문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선급기술료 5억 원)을 완료하고 실용화 작업을 추진 중이다.

침탄기술이란 철강부품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탄소를 주입해 표면에 고탄소 합금층을 만드는 공정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첨단표면공정그룹 김준호 박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조선, 석유화학, 정유, 해양 등 플랜트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계장용 튜브피팅 제조에 필수적이다. 계장용 튜브피팅이란 계측장비의 튜브나 파이프라인을 연결할 때 쓰이는 부품이다.


그 동안 튜브피팅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면에 용융염, 일산화탄소 등을 고온(약 800~1,000℃)에서 열분해해 탄소를 침투시키는 침탄기술이 사용했는데, 고온에서는 작은 결정체가 발생해 내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관련기사



생기원 연구팀은 500℃ 이하의 저온 진공상태에서 튜브피팅 표면에 탄소를 다량 주입하는 방식으로 내구성과 체결력을 크게 높였다. 튜브피팅 표면에 탄소를 밀도 있게 형성해 염분 등 해수의 불순물이 침식하지 못하게 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특히 해외기업과는 달리 염소 및 불소계 독성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이 기술은 양산시에 위치한 피팅·밸브 제조기업 ㈜비엠티에 5억원의 기술료를 받고 이전했다. 비엠티 측은 앞으로 국내 시장의 60%를 차지하는 해외 제품을 대체해 연간 약 100억 원 가량의 매출액을 올리고 해외 플랜트 수주 등으로 50억 원 이상의 수출증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이성일 생기원 원장은 “㈜비엠티가 계장용 튜브피팅 분야의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