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바이오기업 창업 활성화 지원, 대학을 창업 중심지로 육성

정부가 바이오 기업의 창업과 초기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1,135억원 규모의 펀드를 새로 조성한다. 또 대학생들이 실패에 대한 부담 없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16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자금 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제3차 창업 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바이오 창업 활성화 방안’과 ‘대학발 창업 활성화 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바이오 업종은 창업자들이 투자 유치에 곤란을 겪는 대표적인 분야다. 연구개발(R&D)에 막대한 금액을 매우 오래 투자해야 하는데다 투자 위험도 높다. 정부는 이 같은 바이오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창업 지원을 통해 바이오 창업을 활성화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초기 창업 기업 지원 바이오 펀드를 조성해 사업 초기 단계 기업에 30%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바이오 분야에 역동적 투자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바이오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 벤처캐피털(CVC)을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또 우수한 바이오 분야 인력과 연구자원을 갖춘 병원에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R&D 사업을 새로 추진하기로 했다. ‘병원 R&D-창업 패키지지원사업’에 신규로 114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의사 출신의 의과학자를 양성하고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과 바이오 분야 연구자들을 연계해 바이오 벤처를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또 병원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의 이전과 컨설팅 등에 정부 예산 19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초기 창업 기업 전용 R&D 도입(20억원) 등 바이오 창업 기업에 대한 R&D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는 대학을 혁신과 창업의 중심지로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대학발 창업 활성화를 위해 우선 창업 맞춤형 학위과정을 만들고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을 운영한다. 또 창업 친화형 교원 인사제도 마련, 대학 창업의 자금 기반 확충에 나선다. 기술혁신형 창업 프로그램의 운영과 학사제도 개편을 중점 지원해 대학의 패러다임을 창업 중심으로 전환해나간다는 계획이다.

황 대행은 “어렵게 이룬 벤처·창업 붐을 이어나가고 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로서 창업 활성화 정책을 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바이오 창업 활성화 전략
R&D사업화 자금 지원
△병원발 창업 생태계 조성
△창업기업 지원 R&D 투자 확대
△초기 창업기업 지원 재원 확충
투자회수 방식 다양화
△바이오 전문 VC 육성
△바이오 M&A 및 상장 활성화
△바이오 기술이전 촉진
바이오 인프라 ·창업친화적 문화 조성
△창업공간 확충 및 연구시설 지원
△전문 보육 조직, 지원 인력 강화
△창업 규제 개선
△제도및 합리적 보상 체계 마련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