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2만7천561달러…10년째 2만 달러 대에 갇혀

지난해 성장률 2.8%, 잠재성장률 또 밑돌아

2006년 2만 달러 돌파, 10년 째 3만 달러 달성 실패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000달러 대를 기록해 10년 째 3만 달러 진입에 실패했다. 주력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저하와 이를 대체할 새 먹거리가 뚜렷하지 않은 가운데 고령화 등도 겹쳐 저성장이 고착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561달러(3,198만4,000원)으로 전년(2만7,171달러)보다 1.4%(390달러) 증가했다. 1인당 GNI는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이후 10년째 3만 달러 돌파를 하지 못하고 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1인당 GNI 3만 달러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기준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잠재성장률 하락 등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빠른 시일 내에 3만 달러에 진입할 지조차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는 원달러 환율이 1,160원40전으로 전년보다 2.9%(28원90전) 상승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GNI가 더 늘어나는데 한계가 있었다. 지난해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5,632달러로 2015년(1만,천487달러)보다 0.9%(145달러) 늘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가계가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지난해 명목 GDP는 1조6,374억원으로 2015년보다 4.7%(733억원) 늘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다. 가계와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소득으로 지출하고 남은 돈이 많이 늘었다는 의미다. 가장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명목GDP/실질GDP·2010=100)는 1.8% 올랐다.

한은은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의미하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2.8%로 발표했다. 2015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잠정치보다 0.2% 포인트 높은 2.8%로 집계됐다. 한은은 우리나라가 가용한 생산요소를 모두 투입해 물가상승 등 부작용 없이 이뤄낼 수 있는 잠재성장률을 3.0~3.2%로 보고 있다. 2015년 이후 잠재성장률보다 못한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 포인트 올랐다. GDP 성장률은 2011년 3.7%에서 2012년 2.3%로 떨어진 뒤 2013년 2.9%, 2014년 3.3%로 올랐다. 하지만 2015년부터 2년 연속 2.8%에 그쳤다. 경제성장은 건설투자가 떠받쳤다. 지난해 GDP(2.8% 성장) 가운데 지출항목별 성장의 기여도를 보면 총고정자본형성 가운데 1.6%포인트가 건설투자였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