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8학년도 수능, 11월 16일 시행…영어 절대평가 도입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오는 11월 16일 시행된다. 영어영역에 절대평가가 도입되고 수능 응시수수료 면제 대상자는 차상위 계층으로 확대된다. 지난해 수능 출제 오류가 발생했던 점을 감안, 출제 오류 방지를 위한 보완 방안도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에 따르면 올해 수능은 영어 영역에 절대평가가 도입된다고 전했다. 난이도와 문항 수 등 시험체제 변화는 없으나 점수체제는 변경돼 영어에서 90점 이상을 받으면 모두 1등급을 받는다. 전 영역 및 과목 난이도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하고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도 전년과 같이 영역 및 과목별 문항 수 기준으로 70%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지난해부터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의 경우 변별이 아닌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고 필수화 취지에 따라 한국사 영역 미응시자의 경우 수능 성적 전체가 무효 처리되며 성적통지표가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올해부터는 응시수수료 면제 대상을 차상위 계층까지 확대한다. 응시수수료 환불 및 응시수수료 면제 제도의 구체적인 실시 방안과 절차 등은 7월께 시행세부계획 공고 시 발표한다.

관련기사



또 2017학년도 수능에서 2개의 오류 문항이 발생한데 대응해 수능 출제 오류 개선 보완 방안을 마련해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 적용된다. 검토위원장 직속의 검토지원단을 추가 구성해 검토진의 검토 과정 전반 및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이들은 수능 출제 경험이 많은 약 8명 정도의 교수진으로 구성할 예정이며 검토위의 검토과정을 전반적으로 보강할 것으로 보인다.

시험 영역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과학·직업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분되고, 모든 수험생은 한국사 영역에 반드시 응시해야 하며, 나머지 영역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응시할 수 있다. 영역 별로 수학 영역은 가형과 나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영어 영역의 경우 총 45문항 중 듣기 평가는 17문항이며 25분 이내에 실시하게 된다.

탐구 영역은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영역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나 직업탐구 영역은 전문계열의 전문 교과를 86단위 이상 이수해야 응시 가능하다. 2016년 2월 이전 졸업자 중 직업탐구 영역에 응시하고자 하는 사람은 전문계열 전문 교과를 80단위 이상 이수한 경우 응시 가능하다. 사회탐구 영역은 9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과학탐구 영역은 8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 직업탐구 영역은 10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 과목을 선택 가능하다.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