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도시철도 요금 인상분… 안전 강화에 재투자

부산교통공사가 오는 5월 1일로 예정된 요금 인상분을 선제적으로 안전 강화에 투입키로 했다. 부산교통공사(사장 박종흠)는 5월 1일부터 교통카드 기준 △어른 1,200원→1,300원 △청소년 950원→1,050원 △어린이 600원→650원으로 각각 요금을 인상하고 인상분을 우선적으로 안전관리 대책에 투입, 시민안전을 더욱 강화시킬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공사는 이번 인상으로 연 208억원의 수입증대가 예상됨에 따라 신차 도입과 부품 교체, 노후시설물 개선 등을 위한 비용으로 인상분을 전액 투자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는 작년부터 추진한 ‘도시철도 종합안전대책’에 따라 1호선 노후전동차 186량 교체, 2~3호선 열차무선설비 개량 및 교체, 노후 전력케이블 교체, 승강기 화재 연동 시스템 구축 등의 총 101개 과제(9,063억원)에 순차적으로 208억원을 전액 투입한다.


공사는 이번 운임조정이 물가와 전기료 등 요금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3년 인상 이후 4년 동안 요금이 동결된 점, 시설 노후화로 인해 안전분야에 대한 재투자가 시급해졌다는 점, 노인 무임수송 및 환승할인에 대한 운송기관의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됐다는 점을 들어 불가피하게 조정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총 원가를 승차인원(3억2,000명)으로 나눈 승객 1인당 수송원가는 1,767원으로 평균 운임 771원(무임승차, 청소년 요금 포함)보다 996원이나 높았다. 즉 승차인원 1인당 996원의 적자가 쌓이는 구조인 셈이다.

관련기사



뿐만 아니라 작년 당기순손실 1,364억 중 무임손실액이 1,111억(81.4%)임에도 불구하고 복지정책인 ‘무임승차’ 비용을 중앙정부가 별도의 재정지원을 하지 않았기에 경영수지는 해마다 악화됐다는 것이다. 박종흠 사장은 “4년동안 도시철도 요금이 동결됨에 따라 현재 원가보전율은 43.6%에 불과하다”며 “이번 요금인상분을 노후시설 및 안전관리에 전액 투자해 시민이 만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