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네이버, 투명하고 공정한 플랫폼으로"

한성숙 대표 취임 후 첫 기자간담

실시간 검색어 기능 투명성 제고

기부금·창업·창작 등 펀드 조성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의 수장으로 취임한 한성숙(사진) 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투명성 제고’와 ‘사회적 책임 강화’를 선언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불거질 수 있는 정치적 공정성·투명성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고 기술플랫폼으로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한성숙 대표는 28일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투명하고 공정한 플랫폼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몇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검색어 기능을 개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실시간 검색어 기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실시간 검색어가 15초에서 30초로 단위로 바꿨다”며 “실시간 검색어 순위의 개수도 10개에서 20개로 늘렸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또 키워드를 강제로 배제한다는 의혹을 받아온 실시간 검색과 관련해 특정 키워드의 하루 치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볼 수 있는 ‘트래킹’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한 대표는 “실시간 검색어 순위 트래킹 기능들도 준비하고 있다”며 29일 오후에 해당 서비스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회적 책임을 다 하기 위해 펀드를 조성한다. 기부금에 해당하는 ‘공익 플랫폼’ 부문에 350억원, 창업 및 창작 지원에 사용되는 ‘사업 플랫폼’ 부문에 250억원 등 총 600억원 규모의 사내펀드인 ‘분수펀드’를 만들 계획이다. 한 대표는 “1회성으로 기부하기보다는 소규모 사업들과 1인 창작자들이 사업을 잘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도울 수 있는) 펀드개념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발표할 기술에 대해서는 “자율주행차 관련 부분들은 조만간 있을 (서울)모터쇼에서, J태스크포스에서 만드는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는 여름쯤 결과물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T 산업의 핵심 화두로는 인공지능(AI)을 꼽았다. 그는 “내부적으로 사용자 추천을 오래 연구해 왔는데 이게 바로 요즘 말하는 AI”라며 “검색에서부터 뉴스까지 사용자 추천을 하고 있는데 만족도가 나쁘지 않다”고 평가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