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Consumer&Company]LS, 디지털혁명 시대 대응해 기술전략부문 신설

구자열(앞줄 가운데) LS그룹 회장이 지난해 독일에서 열린 ‘하노버 메세’에 참석해 지멘스의 통합전력관리및 통합자동화 기술을 직접 체험해 보고 있다. /사진제공=LS그룹구자열(앞줄 가운데) LS그룹 회장이 지난해 독일에서 열린 ‘하노버 메세’에 참석해 지멘스의 통합전력관리및 통합자동화 기술을 직접 체험해 보고 있다. /사진제공=LS그룹







“다른 기업이 따라잡기 힘든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해 발 빠르게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

LS그룹을 이끌고 있는 구자열 회장이 평소 임직원들에게 가장 강조하는 말이다. 구 회장은 3개월에 한 번씩 열리는 CTO(최고기술경영자)간담회, 기술협의회 등에 빠지지 않고 참가하는 등 그룹의 연구개발(R&D) 전략과 방향 등을 직접 챙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구 회장의 이같은 ‘R&D’에 대한 열정과 관심은 ‘인더스트리 4.0’으로 대변되는 제조업 혁명의 물결 속에서 더 큰 성과를 창출해 미래 성장동력에 투자하고, 디지털 혁명 시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구 회장은 지난해 9월 LS T-Fair(연구개발 보고대회)에서 ‘디지털시대에 대비한 R&D 전략과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같은 해 10월에 열린 임원세미나에서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단순히 제품의 형태만 바꾸는 수준이 아니라 사업전략에서부터 R&D·생산·영업 등 사업프로세스 전체를 획기적으로 바꿔놓는 디지털혁명 수준일 것”이라며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LS그룹은 올해 지주사 내에 기술전략부문을 신설해 CTO 체제 아래 디지털 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R&D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각 회사 별로도 중장기 사업전략과 인재육성 등의 분야에서 디지털 역량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또한 LS그룹은 매년 핵심 설비및 R&D 분야에 8,000억~9,000억원을 꾸준히 투자하고, 이 분야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주요 계열사들은 초전도케이블·스마트그리드(Smart Grid)·초고압직류송전(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등 신사업 분야 프리미엄 제품 제조기술을 국산화해 해외 시장 진출에 나서는 중이다.

LS전선은 초전도 분야에서 세계 최대 용량인 교류 154kV급 초전도케이블 시스템 형식 승인시험에 성공한뒤 지난해 실증에 돌입, 세계에서 유일하게 직류(DC)와 교류(AC) 기술력을 모두 확보한 회사가 됐다. LS산전은 HVDC 기술이전 및 제작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내놓고 있다.

LS-Nikko동제련은 칠레의 국영기업 코델코와 합작법인 형태로 귀금속 생산 플랜트를 준공해 연간 금 5톤, 은 540톤, 셀레늄 200톤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산업기계와 첨단부품 사업을 하고 있는 LS엠트론은 유럽·미국 등의 환경규제를 뛰어넘는 친환경 엔진을 장착한 트랙터를 개발했다.

LS그룹 관계자는 “제조업 혁명의 물결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책임경영 강화로 조직의 변화 대응력을 높이고 기술·제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핵심 사업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놓을 계획”이라며 “주요 계열사들은 기술력과 현지화 전략으로 인한 수익 창출을 바탕으로 미래 사업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