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원시, 2021년 교통사고 사망자 29명으로 줄인다

수원시가 지난 2015년 39명이었던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2021년까지 29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수원시(시장 염태영)는 29일 수원시청에서 ‘제3차 수원시 교통안전 기본계획 수립’ 중간보고회를 열고 보행자 중심 도로환경, 안전한 도로환경, 안전한 차량, 안전체계 관리 등 4개 중점과제 21개 세부계획 추진 계획을 밝혔다.


시는 보행자 중심 도로환경 조성을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지속관리 △고령 보행자 안전교육 시행 확대 △등하굣길 보행 안전지도 활동 강화 등 5개 과제를 추진한다. 또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해 △도시부 제한 속도 50·30㎞/h 이하 대상도로 확대 △회전교차로 이용방법 대대적 홍보 △터널·지하차도 사고 예방시스템 도입 등 8개 세부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안전한 차량’을 만들기 위해 첨단 안전장치 보급을 활성화하고, 선진적 안전체계 관리를 위해 △불법 명의 자동차 단속 강화 △교통사고 취약 운수업체 특별안전 점검 강화 등 과제를 추진한다.


수원시는 인구, 자동차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교통약자인 65세 이상 어르신 인구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011부터 2015년까지 65세 이상 인구는 6.1% 늘어났다. 15세 미만 인구는 0.6% 줄었다. 고령화 사회에 맞는 교통안전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지난 2015년 기준으로 인구 1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0.31명),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수(0.82명)는 전국·경기도 평균보다 적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1년 43명, 2012년 58명, 2013년 44명, 2014년 71명, 2015년 39명이었다.

수원시는 교통안전대책 추진으로 5년간 매년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는 2015년 3.19명에서 2021년 1.60명으로,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수는 0.82명에서 0.41명으로 줄이는 게 목표다. 지난 2011~2015년 교통사고 사망자 유형은 ‘차 대 차’ 사고가 73%로 가장 많았고, ‘차 대 사람’이 23%, ‘차량 단독’이 4%였다.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시간은 퇴근 시간대인 18~20시로 전체의 14%를 차지했다.

법규위반 유형별 교통사고 비율은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63%로 가장 많았고, ‘신호 위반’(16%), ‘안전거리 미확보’(14%), ‘중앙선 침범’(4%)이 뒤를 이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