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연세의료원 "IT 기업들과 다양한 질병진단·예측시스템 개발"

10곳과 연구협약…100곳까지 확대 추진

윤도흠 연세의료원장이 29일 한국마이크로소프트·셀바스AI 등 10개 정보통신(IT) 기업들과 한국형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연구협약을 체결한 뒤 성공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제공=연세의료원윤도흠 연세의료원장이 29일 한국마이크로소프트·셀바스AI 등 10개 정보통신(IT) 기업들과 한국형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연구협약을 체결한 뒤 성공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제공=연세의료원




연세대의료원이 국내 정보통신(IT) 기업들과 손잡고 다양한 질병 진단·예측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윤도흠 연세의료원장은 29일 한국마이크로소프트·셀바스AI 등 10개 IT 기업들과 한국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연구협약을 체결했다.


윤 의료원장은 “국내 디지컬 헬스케어 기업들이 대학·병원과의 적절한 협력 고리를 찾기 어려워 개발 기술의 적용·확장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연세대 의대·병원·연구소 등이 가진 의료 데이터와 연구인력, 임상적용 능력 등을 최대 100개 협력 기업에 개방해 의료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산학 공동연구 네트워크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연세대의료원은 이번 연구협약 기업들과 재난현장 구급활동을 위한 스마트 응급의료시스템(마젤원), 정밀의료 기반 아토피질환 예측 시스템(DS트레이드, DNA링크), 센서기반 척추질환 진단시스템(아임클라우드), 환자 수면평가 및 예측 시스템(센서웨이), 수술환자 생체신호 기반 회복개선연구(베이스코리아IC), 파킨슨병 임상시험 기술(제이어스), 성인병 발생 예측 서비스(셀바스AI), 당뇨병 예측시스템(핑거앤) 등을 공동으로 개발하게 된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연세의료원과 9개 IT 기업이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처리·분석할 수 있도록 ‘머신 러닝’ 기능과 빅데이터 분석 툴 등을 갖춘 인공지능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를 일정 기간 무료로 개방한다.

연세의료원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산학협력에 적극 나선 것은 IBM의 인공지능(AI) 종양내과의사 ‘왓슨 포 온콜로지’처럼 선진국 업체가 개발한 것을 쓰게 되면 영원히 종속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연세의료원의 의료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국내 IT 업체들이 개발한 서비스 플랫폼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의료기관·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유료 서비스가 이뤄질 경우 이익을 공유할 수는 것도 장점이다. 이상은 헬스IT센터 교수는 “의사들이 진단·진료·재활치료 등에 쓸 수 있는 플랫폼의 경우 잘 개발하면 조기에 유료 서비스 제공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