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성큼 다가온 미래 자동차 시대…커넥티드카 기술 경연장 된 서울모터쇼

“블루링크, 아이오닉을 무대로 보내줘.”

양웅철 현대자동차 개발담당 부회장이 스피커에 음성명령을 하자 “네. 차량을 목적지로 이동시키겠습니다”라는 답과 함께 ‘아이오닉’ 자율주행차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무대 뒤에 만들어진 길을 따라 운전자 조작 없이도 도로 가운데 장애물이 올라오자 자동으로 멈췄고 지그재그로 놓인 물건들도 알아서 피한 후 무대 위로 올라왔다.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로 조명 버튼을 누르자 무대 옆에 꾸며진 스마트하우스에 불이 켜졌고 환기용 팬도 돌릴 수 있었다.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30일 프레스데이를 시작으로 막을 연 ‘2017 서울모터쇼’는 미래 자동차가 바꿀 우리의 삶을 미리 만나는 자리였다. 업체마다 성큼 다가온 미래 자동차 생활의 방향성과 기술력을 뽐내는 경연장이었다.

현대차는 ‘초연결 지능형 라이프 스타일’을 화두로 던졌다. 단순히 차만 만들어 파는 회사가 아니라 삶의 방식을 바꾸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의 변신을 선언했다. 양 부회장은 “자동차와 정보통신 기술 간 산업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며 “커넥티드카 기술을 선도해 초연결 지능형 라이프와 변화하는 세상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는 특히 집에서 음성명령으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홈투카(Home to Car)서비스와 차량에서 집을 제어할 수 있는 카투홈(Car to Home) 서비스를 시연했다. 황승호 현대차 차량지능화사업부 부사장은 “네트워크를 통해 차와 사람이 상호 작용하고 이를 통해 더욱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이 실현되는 것이 현대차가 지향하는 초연결 지능형 자동차”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대차는 △선제적 안전△지속 발전하는 편리함△이용 및 관리 비용의 절감△연결을 통한 효율성 증대 등 4대 커넥티드카 서비스 방향성도 제시했다. 또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차와 스마트 기기, 교통 인프라 등을 연결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플랫폼(ccSP) 개발 방향도 내놨다. 해외에서는 ‘아마존 에코’ ‘구글 홈’과 같이 공개된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플랫폼들과 연동된다. 기아차도 음성인식 장치로 차량 위치를 찾는 카투홈 서비스를 공개했다.

수입차 중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KT와 협력해 제공하는 LTE 기반의 프리미엄 커넥티드카 서비스 ‘메르세데스 미 커넥트’를 공개했다. 원격 주차 기능과 실시간 차량 위치 확인 프로그램인 ‘지오펜싱’,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차량 연비 및 상태 점검이 가능한 ‘메르세데스 미 포털’도 소개됐다. 디미트리스 실라키스 사장은 “메르세데스 미 커넥트를 통해 한 차원 더 스마트하고, 안전하며, 더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 역시 “미래 자동차 산업의 트랜드는 ACES(automatic, connected, electric, share)로 대표된다”며 “BMW는 2021년 완전 자율주행차를 통해 다른 세상을 소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터쇼에 처음 참여한 네이버는 자율주행차 기술을 발표했다. 레이더나 라이다와 같은 고가 센서가 아니라 딥러닝을 기반으로 이미지 인식 고도화 기술에 주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3D 맵핑 로봇인 M1을 시연하면서 관련 기술이 수준급임을 알렸다. 네이버는 또 ‘IVI(in-vehicle infotainment) 플랫폼’도 공개했다. 애플의 카플레이나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와 비슷한 콘셉트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네이버의 음악,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7월부터는 카셰어링 업체 그린카에 해당 단말기가 부착된다. 운전자의 운전 습관 등 각종 빅데이터를 축적한다.

서울모터쇼에서는 친환경 차량도 다수 공개됐다. 현대차는 수소차 콘셉트카(FE)를 국내 최초로, 그랜저IG 하이브리드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SUV 형태인 수소차 커넥티드카는 1회 충전으로 유럽 기준 800㎞ 이상, 국내 기준 580㎞ 이상 주행하는 것이 목표다. 그랜저IG 하이브리드는 액티브 에어플랩, 하이브리드 전용 휠을 통해 기존 모델보다 연비가 8% 높아진 ℓ당 16.2㎞다. 가격은 3,540만~3,970만원. 도요타는 브랜드 최초 PHEV 차량인 프리우스 프라임을, 한국GM은 순수 전기차 볼트EV를 출시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더 뉴 C 350e’ ‘더 뉴 GLC 350 e 4매틱’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고양=강도원·조민규·양사록기자 theone@sedaily.com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