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텔레콤, '누구' 통해 한국의 아마존 꿈꾼다

AI '누구' 업데이트 통해 11번가에서 상품 구매 가능해져

야구경기 결과 및 업데이트 정보도 알려줘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까지 발전시켜 ICT 생태계 장악한다는 계획

SK텔레콤은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 ‘누구(NUGU)’에 전자상거래, 스포츠 중계, 오늘의 운세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추가한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은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기 ‘누구(NUGU)’에 전자상거래, 스포츠 중계, 오늘의 운세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추가한다고 30일 밝혔다. /사진제공=SK텔레콤


“아리야, 11번가 추천상품 좀 알려줘.”


“11번가의 오늘 추천상품은 삼다수입니다. 주문을 원하시면 ‘주문해줘’라고 말해 주십시오.”

영화에 나오는 장면이 아니다.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기기 ‘누구(NUGU)’ 이용자들의 집안에서 일어나는 풍경이다.


SK텔레콤은 ‘누구’가 온라인 쇼핑과 알림 기능이 추가되며 더욱 똑똑해졌다고 30일 밝혔다. 이용자들은 ‘누구’를 통해 음성으로 11번가의 상품을 안내받고 주문도 할 수 있다.

관련기사



또 국내 프로야구 경기 및 운세 정보를 알려주고 이용자에게 업데이트 정보 등을 먼저 알려주는 ‘알림 기능’도 추가했다. 모든 추가 기능은 클라우드에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자동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고객이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SK텔레콤은 향후 누구를 스마트홈 기기와 연결해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으로 까지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집안의 비서 역할과 가정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셈이다. ‘누구’는 올해 안에 기존보다 작고 저렴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될 예정이다.

‘누구’는 지난해 9월 출시된 이후 월 1만 대 이상 꾸준히 판매되며 SK텔레콤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 전략의 핵심축으로 자리하고 있다. 실제 SK텔레콤은 아마존과 유사한 AI 생태계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마존은 ‘에코’라는 스피커에 탑재된 AI ‘알렉사’를 통해 전자상거래 서비스 확대는 물론 자율주행차 시장까지 도전하고 있다.

김성한 SK텔레콤 누구사업본부장은 “고객의 목소리를 반영해 쇼핑 등 실생활에서 유용한 신규 기능들을 업그레이드했다”며 “인공지능이 사람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꾸준히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